|
오는 4월로 예정된 인천항만공사(IPA)의 인천신항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업체 선정에 국내 항만 업체들의 물밑 경쟁이 뜨거운 것으로 알려졌다. 신항이 완공되면 그 동안 수심의 한계로 인천항을 기항하지 않았던 글로벌 선사들을 유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17일 IPA에 따르면 지난 12일 인천신항 1-1단계 2개의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 선정을 위한 공고를 한데 이어 오는 19일 사업설명회를 가질 예정이다. 이어 오는 4월13일 사업제안서를 접수 받아 사흘 후인 16일 운영회사를 선정할 계획이다. 인천신항 1-1단계 사업은 지난해 4월 착공, 오는 2013년 말까지 연간 약 100만TEU(1TEU는 20피트짜리 컨테이너 한 개)의 컨테이너를 처리하는 6개 선석(길이 800mㆍ부지면적 48만㎡) 규모로 건설된다. 사업비는 모두 3,123억원이 투입되며 임대운영 기간은 30년이다. 1단계 사업에서는 정부가 약 1조원을 투입, 진입로 등 기반시설을 조성하고 접안시설은 IPA가 1조7,000억원을 투입, 컨테이너터미널 등을 건설하게 된다. IPA는 상부공사는 운영회사가 직접 건설하도록 해 이용자 중심의 맞춤형 전용 컨테이너터미널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또 2단계로 오는 2020년까지 컨테이너부두 23선석, 잡화부두 7선석 등 총 30선석 규모로 축조된다. 현재 인천신항 운영권을 따내기 위해 움직이고 있는 업체는 향토기업인 선광과 영진공사가 거론 되고 있으며, 국내 물류기업을 대표하고 있는 한진, 대한통운과 인천컨테이너터미널(ICT)을 운영하고 있는 싱가포르항만공사(PSA) 등 5개 업체에 이르고 있다. 이들 기업들은 부두 운영을 위해 업체별로 2,000억원이 넘는 자금을 투자해야 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나 인천신항 운영권 획득이 국내 하역업계 판도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보고 사업자 선정에 사활을 걸고 있는 양상이다. 참여 신청은 업체 단독 또는 공동 모두 가능하며 화물창출 능력, 부두운영 역량, 사용료 제시액 등이 주요 선정 기준이다. 특히 글로벌 선사의 출자지분이 20% 이상이거나 인천지역 업체의 지분율이 50% 이상이면 가점을 받을 수 있다. 인천신항 컨테이너터미널은 수도권과 중국을 배후시장으로 하는 만큼 성장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에 따라 지역 기업들은 물론, 해외 관련 기업들까지 큰 관심을 보여왔다. IPA의 한 관계자는 "수도권과 가까운 인천 신항이 완공되면 동북아 물류 중심항만역할을 할 것"이라며 "사업자 선정이 공정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