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Culture&Life] 영화 '극비수사'의 곽경택 감독

"평생 '친구'의 감독으로 남는 것, 그게 나의 행복이죠"

이야기만 들어도 재미있는 그런 영화 만드는 게 목표

머릿속의 그림 펼쳐지는 완벽한 촬영현장서 쾌감 느껴

'친구' 뛰어넘는 작품 안나와도 매번 최선 다하고 기다릴 뿐



'영화 '친구'의 감독.'

곽경택(49·사진) 감독에게 근 14년째 따라붙는 수식어다. 지난 1970~1980년대 부산에서 학창 시절을 보낸 감독이 자신의 이야기를 스크린에 담아낸 영화 '친구(2001)'는 개봉 당시 800만명이라는 엄청난 관객을 끌어들였다. 단순한 흥행을 넘어 하나의 현상으로까지 불렸던 이 영화로 당시 만 서른네 살의 젊은 감독은 더없는 성공과 행복을 누렸음이 틀림없다. 문제는 이후다. 곽 감독은 이후로도 '챔피언' '똥개' '태풍' '사랑' 등 화제작들을 쉼 없이 선보였지만 어느 하나 '친구'를 넘어서지 못했다. 너무 대단한 작품이 그의 감독 인생 초기에 나왔다는 사실이 오히려 감독을 불행하게 만들지는 않았을까.

"저는 분명히 '친구'의 감독이에요. 평생."

곽 감독은 너무도 담담하게 답했다. 그리고 "앞으로 제가 더 많은 작품을 만들고 더 훌륭한 작품을 찍는다고 해도, 그래도 계속 '친구' 감독으로 불려도 상관없다"고 덧붙였다.

"'친구'가 개봉한 다음 날인가, 충무로에서 영화계 어르신 한 분을 만났어요. 근데 그분이 대뜸 하시는 말씀이 '축하해요. 이제 곽 감독은 평생 '친구'의 감독으로 남을 겁니다'였어요. 그때는 저도 혈기 왕성할 때라 조금 황당했습니다. 내가 끝났다는 건가 싶기도 하고. 근데 그분이 설명하시길 '나는 *마부(1961)라는 영화를 할 때 제작부장이었고 평생 마부의 제작부장으로 살았다'는 겁니다. 그 말이 시간이 지날수록 새록새록, 진하게 들리네요. 그건 굉장히 자랑스럽고 행복한 일이라는 생각도 들고요."

◇"나는 이야기꾼, 내 영화의 중심은 드라마"="아버지가 항상 말씀하시길 '재밌는 영화는 내가 안 보고 본 사람이 와서 얘기만 해줘도 재밌다'고 합니다."

곽 감독은 그렇게 '얘기만 들어도 재밌는' 영화를 만드는 것이 목표다. 하고 싶은 이야기도 너무 많다. 1997년 '억수탕'으로 데뷔해 18년간 무려 12편의 영화를 만들어낼 정도로 왕성한 생산력을 보였음에도 아직 못 다한 이야기가 넘친다고 한다. 대표적인 것이 아버지가 쓴 '우암동 189번지'라는 작품이다. 그는 "1950년대 부산에 살던 피란민들에 관한 에로틱 무비"라며 "오래전부터 만들고 싶었는데 캐스팅도 어렵고 미술 등 제작비가 만만찮아 계속 미뤄지고 있다"고 했다.

영화의 소재는 주로 사람들과 이야기하면서 얻는다. 18일 개봉하는 '극비수사' 또한 영화 '친구2'의 시나리오 집필 중 우연히 만난 공길용 형사에게서 들은 이야기에서 시작됐다. 곽 감독은 "37년 전 유괴사건에서 실제 공을 세운 인물들이 그 사건 해결에 대한 보상을 다 빼앗기고, 그럼에도 '우리는 그저 가족들을 위해 애만 찾아주면 됐던 것이다'라고 털어놓는 모습이 굉장히 감동적이었다"며 "사실 한국 사회에서 그렇게 사는 사람이 얼마나 많은가, 하는 생각이 들었고 그렇다면 이 이야기는 많은 공감을 끌어낼 수 있겠다 여겼다"고 설명했다.

사람들과의 대화를 통해 영화 소재를 찾다 보니 곽 감독이 남자들의 이야기나 과거의 이야기에만 얽매인다는 오해가 생기기도 했다.

"술잔을 기울이며 얘기를 나누면 현재나 미래 이야기보다는 옛날이야기가 많이 나오잖아요. '형님, 제가 이런 일이 있었는데요'라고 시작되는 얘기가 귀에 확 들어오는데, 그러다 보니 과거형이 될 수밖에요. 또 허심탄회하게 이야기를 나누는 대상은 아무래도 동성이 될 수밖에 없잖아요. 제 영화에 여성이 적다면 그런 이유가 아닐까요."

'이야기꾼'의 면모는 그가 영화를, 이야기를 다루는 태도에서도 나온다. 곽 감독은 연출한 영화 대부분을 직접 각본했다. 그는 "재미있는 원작을 마다할 생각은 없지만 아무래도 오리지널리티에 대한 욕심이 있다"며 "내가 발굴한, 세상에서 하나밖에 없는 새로운 이야기에 사람들이 공감해줄 때 더 고맙고 기쁘다"고 했다.

◇현장에서 쾌감을 느끼는 천생 영화 감독=하지만 감독이 영화 제작 과정 중 가장 쾌감을 느끼는 곳은 역시 현장이다. 글로만 써서 머릿속에만 있던 그림이 눈앞에서 열리는 그 느낌.

"촬영을 위한 준비를 완벽하게 끝낸 후 액션 사인을 내릴 때, 연기자가 적재적소에 투입됐는데 그 연기와 에너지가 너무 좋고 때마침 보조출연자도 타이밍 좋게 딱 지나가고 그러면, 그 순간은 정말 너무 기분이 좋아서 속된 말로 돌아버리죠. 영화는 그 맛에 합니다."

이번 영화 '극비수사'에서 곽 감독이 꼽는 최고의 장면 역시 김윤석·유해진 두 연기 고수의 에너지가 정면으로 맞부딪치는 아파트 복도 신이다. 이 장면은 약간은 서로 겉돌던 두 중심인물의 마음이 비로소 완벽히 하나가 되는 상황을 그리고 있어 영화적으로도 상당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감독은 "이런 신은 카메라 테크닉도 별로 없이 인물들의 부딪침으로 가는 것"이라며 "연기자가 에너지의 100%를 뽑아낼 수 있도록 준비가 완벽하고 연기자 또한 최고로 몰입했을 때야 나올 수 있는 장면"이라고 만족해했다.

이번 영화는 곽 감독이 18년간 다져온 그의 작업 스타일을 변화시키려 한 첫번째 작품이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이를테면 이번 영화의 편집을 자신이 주도하지 않은 점. 곽 감독은 기존 작품 대부분에서 편집에 적극 관여했지만 이번에는 영화 '끝까지 간다' 등에서 실력을 보인 김창주 편집감독에 전권을 넘겼다. 관객들이 영화 '극비수사'에서 감독의 전작과 사뭇 다른 점을 발견했다면 아마 이 때문일 것이다.

"누군가 말하길 '너는 그 농업적 근면성을 버려야 한다'고 하더라고요. 땅 파는 것부터 작물 일구는 것까지 혼자서 열심히 다하지 말고 요령 좋게 하라는 겁니다. 저도 지금껏 고집했던 작업 방식이 조금 후회가 되기도 해요. 한 작품을 생산하는데 좋은 스태프들과 효율적으로 만들어내면 훨씬 더 많은 박수도 받을 것이고 에너지도 절약해 더 많은 이야기를 할 수 있었을 텐데요."

그렇게 변화를 준 이번 작업 방식이 곽 감독은 상당히 만족스러웠다고 했다. 영화를 앞서 본 관객들 사이에서도 입소문이 심상찮다. 이번에야말로 '친구'를 뛰어넘고 싶지는 않을까. 감독은 담담히 답했다.

"때로는 제 전작을 이기고 싶은 마음이 들죠. 하지만 '친구'는 영화가 아니라 현상이었어요. 제가 영화를 잘 만들 수는 있어도 사회적 현상을 일으킬 수는 없는 노릇이죠. 물론 흥행은 욕심나지만 그럴 때마다 떠오르는 말이 '진인사대천명(盡人事待天命·사람이 할 수 있는 일을 다 한 후 결과는 운명에 따름)'입니다. 저는 최선을 다했으니 나머지는 하늘에 맡겨야죠."



*마부=강대진 감독의 1961년 흑백영화. 벙어리 큰딸과 고시 공부를 하는 큰아들, 결혼으로 출세하려는 셋째딸, 말썽만 일으키는 작은아들 등 4남매를 둔 마부 김승호의 이야기. 당시 흥행에서 대성공을 거뒀고 제11회 베를린영화제에서 은곰상을 수상하는 등 작품성 역시 인정받았다.

'아이 찾기' 손잡은 형사와 점술가… 37년전 유괴사건 영화화

■영화 '극비수사'는

'이 아이를 반드시 살려서 구해내자.'

간절한 마음이 영화 전반에 흐른다. 이토록 절박한 염원을 품고 동분서주하는 형사·도사와 함께 내 마음도 쉼 없이 달렸다. 아이가 무사히 돌아오기를 같은 마음으로 응원했다. 누군가 말하기를 "좋은 영화는 관객들에게 실제적인 경험을 주는 것"이라고 했다. 영화 '극비수사'를 좋은 영화라 평해도 괜찮지 않을까.

영화는 지난 1978년 부산에서 실제로 있었던 33일간의 유괴사건에 대한 수사를 소재로 한다. 큰 규모의 수산업을 하던 집안의 초등학생 딸이 납치됐는데 열흘이 지나도록 범인에게서는 연락이 없다. 답답한 마음에 점집까지 찾아다니는 아이 엄마에게 점쟁이는 물론 경찰마저 '아이는 이미 죽은 것이나 다름없으니 포기하라'고 한다. 하지만 단 한 사람, 별로 유명하지도 않은 도사 김중산(유해진 분)만이 '아직 아이가 살아 있다'고 말해준다. 그리고 '아이를 살리려면 사주가 잘 맞는 형사를 투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 '사주가 잘 맞는 형사'가 별로 대단할 것도 없어 보이는 형사 공길용(김윤석 분)이다. 공 형사는 자신이 도사의 지나가는 한 마디 때문에 수사를 떠안게 된 사실을 조금 한심하게 여기지만 아이 엄마의 간절한 눈을 보고서는 차마 요청을 거절하지 못한다.

그렇게 시작된 공조수사. 하지만 걸림돌은 많다. 주목 받는 사건에서 공을 세우고자 하는 다른 형사들에게 갑자기 끼어든 공 형사는 눈엣가시다. 그래서 공 형사의 활약은 동료 형사들에게 번번이 발목을 잡힌다. 날로 신경이 예민해지는 그의 앞에서 예언을 하노라며 이것저것 훈수를 두는 김 도사는 공 형사에게 특히 짜증스러운 존재다. 하지만 두 사람은 서로에게서 공통된 간절함, '아이를 무사히 구해내자'는 목표를 발견하고 마음을 연다. 그리고는 명예도 성공도 뒤로 한 채 오로지 아이를 살리기 위해 함께 달린다.

영화는 그 시절의 정서와 분위기를 한껏 살리기 위해 그 당시 실제로 사용하던 말투를 그대로 가져왔다. 미술과 의상에도 상당히 공을 들였다. 관객들을 그 시대로 데려가기 위함이다.

실화를 바탕으로 해서인지 영화적인 한방이나 호쾌한 액션, 극적 반전 같은 것은 없지만 영화는 시간 순서로 진행되면서도 일정 이상의 긴장감을 팽팽하게 가져간다.

리드미컬한 편집의 힘도 컸거니와 김윤석·유해진 등 믿고 보는 배우들의 훌륭한 연기가 관객들의 충분한 몰입을 돕는다.

영화가 가진 단 하나의 단점은 1970년대 부산 사투리를 알아듣기 만만찮다는 것 정도겠다. '허풍 떨고 있네'라는 뜻을 지닌 공 형사의 대사 "풍금 치고 앉아 있네"를 단박에 알아듣기란 부산에서 나고 자란 사람도 쉽지는 않을 터. 하지만 이 같은 언어의 장벽(?)을 극복하고서라도 영화는 볼 만한 가치가 있다. 영화는 18일 개봉했다.



He is

△1966년 부산 △1995년 뉴욕대 영화연출과 졸업 △1995년 제2회 서울단편영화제 우수상(단편 '영창이야기') △1997년 영화 '억수탕' 각본·연출 △1998년 영화 '닥터K' 각본·연출 △2001년 영화 '친구' 각본·연출 △2001년 제22회 청룡영화상 한국영화 최다관객상 △2001년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2001년 제9회 이천 춘사대상영화제 춘사대상·감독상 △2002년 영화 '챔피언' 각본·연출 △2003년 영화 '똥개' 각본·연출 △2005년 영화 '태풍' 각본·연출 △2007년 영화 '사랑' 각본·연출 △2007년 제27회 하와이국제영화제 감독상 △2008년 영화 '눈에는 눈·이에는 이' 각색·연출 △2008년 드라마 '친구·우리들의 전설' 제작·각본·연출 △2011년 영화 '통증' 연출 △2012년 영화 '미운 오리 새끼' 기획·각본·연출 △2013년 영화 '친구2' 각본·연출 △2015년 영화 '극비수사' 연출



사진=권욱기자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