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최대 400억달러(41조2,880억원)의 자본금을 갖춘 동북아개발은행 유치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동북아 지역내 에너지개발과 환경보호는 물론이고 남북경협과 관련된 대륙간 철도 투자 등에도 나선다는 청사진을 세웠다.
20일 인천시에 따르면 동북아 국가 간 경제통합 유도와 인천을 동북아의 금융허브로 육성하기 위해 오는 2018년까지 동북아개발은행 유치 작업이 추진된다. 이를 위해 인천시경제수도추진본부는 지난 17일 동북아개발은행 유치와 관련된 준비상황과 계획을 유정복 인천시장에게 보고 했다.
시는 동북아개발은행 회원국으로 한국을 비롯해, 중국·일본·몽골·러시아·북한 등으로 구성할 계획이다.
이사회에서 증자를 통해 최대한 늘릴 수 있는 수권자본금은 400억달러(41조2,880억원), 납입자본금은 100억달러(10조3,220억원)~200억달러(20조6,440억원)으로 잡고 있다.
시는 동북아개발은행 조직을 총회와 이사회로 구성하고 위치는 서구 루원시티와 청라지구, 영종지구를 염두해 두고 있다.
시는 동북아개발은행의 설립의의를 명확히해 관련국의 참여를 유도하기로 했다. 국지적인 지역만의 개발을 위한 개발금융기구에서 탈피해 동북아에너지개발, 환경친화사업 등 공동이익을 위한 국제컨소시엄 파이낸싱 장치로 키울 방침이다.
이와 함께 남북한 경제협력의 틀을 대륙간 철도 부설, 에너지 파이프라인 등 동북아 개발에 필수적인 사회간접자본 확충과 관련된 동북아 차원의 이슈로 승격시켜 관련국간 공감대도 형성해 나갈 계획이다.
시는 이를 위해 인천이 동북아물류중심지로서의 지리적 이점을 부각시키고 루원시티와 청라지구, 영종지구 후보지의 경제적 효과 등을 적극적으로 홍보키로 했다. 현재 아시아에는 아시아개발은행(ADB)과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등 2개가 운영되거나 설립이 추진 중이다.
이중 아시아개발은행은 동북아지역에 대한 투자실적이 적고, 아시아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기구의 성격상 동북아지역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에 한계가 있다는 분석이다. 또 중국이 주도해 설립이 추진 중인 AIIB는 동북아지역에 대한 집중투자에 적합한 기구이나 정치역학상 미국이 직·간접적으로 한국 참여를 반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아시아개발은행 등 기본의 국제 금융기관으로는 부족한 동북아의 인프라 구축자금 수요에 한계가 있다"면서 "인천에 동북아개발은행이 설립되면 인천의 브랜드 제고와 국제도시로 한 발짝 도약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