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정보기술(IT) 인프라를 활용해 국가적 과제인 고용 없는 성장, 저출산ㆍ고령화 시대를 슬기롭게 헤쳐나가기 위한 청사진을 내놓았다.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ㆍ방송통신위원회ㆍ행정안전부가 공동으로 20일 발표한 '스마트워크 활성화 전략'에는 일하는 방식을 확 바꿔 국가경쟁력을 끌어올리겠다는 정부의 의지가 담겨 있다. 고용 없는 성장 등 당면 현안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공공ㆍ민간 부문 구분 없이 일하는 방식의 변화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판단 때문이다 정부는 세계 최고 수준의 IT 인프라와 스마트폰ㆍ와이파이ㆍ와이브로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하면 일하는 방식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자신하고 있다. 계획대로 전략이 추진되면 출퇴근 시간 감소와 함께 교통비용 및 탄소배출량 절감 등은 물론 중장기적으로 일자리 창출, 기업 및 국가 경쟁력 강화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는 게 정부의 생각이다 스마트워크가 가시화되는 오는 2015년에는 업무환경에 일대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전망된다. 집에서 아이를 돌보면서 회사 일을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근무환경이 완벽히 갖춰진 집 근처 원격 사무실(스마트워크센터)에서 업무를 볼 수 있게 된다. 집에서 회사 정보통신망에 접속해 업무를 보는 재택근무는 물론 자택 인근 원격사무실에 출근하는 스마트워크센터 근무, 스마트폰 등을 이용해 현장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모바일 오피스 등이 모두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대도시 외곽에 구청ㆍ주민센터 등 유휴 공간을 활용해 영상회의 등 첨단 원격 업무 시스템을 갖춘 스마트워크센터를 올해 2곳을 시작으로 2015년까지 500곳을 구축하기로 했다. 또 대단지 아파트 건축시 스마트워크센터를 주민공동시설에 포함하고 육아시설 설치 지원, 교통유발 부담금 감면 등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를 위한 인센티브도 제공할 예정이다. 이렇게 될 경우 육아부담으로 구직에 수동적인 여성실업자나 고령층에도 취업 기회가 제공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 출퇴근 시간이 줄어들어 이산화탄소(CO2) 배출량이 감소하는 등 녹색성장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 우리나라는 고질적인 대도시 교통혼잡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 손실만 연간 26조원에 달하고 1인당 노동시간 역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 1.3배 길지만 생산성은 미국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허성욱 방통위 네트워크기획보호과장은 "스마트워크가 활성화되면 수도권 근로자의 경우 원격근무시 하루 약 90분의 출퇴근 시간이 감소하고 1인당 사무공간은 41%, 전기소모량은 40%, 원격 근무자 1인당 교통비는 연간 34만원가량 줄어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부는 2015년까지 전체 노동인구의 30%를 스마트워크 근무 환경에서 일할 수 있게 한다는 계획이다. 이각범 국가정보화전략위원장은 "미국이나 유럽ㆍ일본에 비해 스마트워크 환경 구축이 늦은 감이 있지만 우리나라는 브로드밴드 등 IT 인프라가 잘 구축돼 있는 만큼 조기에 스마트워크 현실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스마트워크가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이 많은 게 현실이다. 무엇보다 정부가 우선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공직사회의 경우 조직이나 인사제도 등 여러 분야에서 제도가 갖춰져야 한다. 강유민 행안부 유비쿼터스기획과장은 "스마트워크 환경에 맞춰 공무원 복무관리 체계 및 조직ㆍ인사제도를 획기적으로 바꾸고 기관별 추진실적을 정부업무 평가에 반영하는 등 관련 제도개선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