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는 이와 함께 국제통화기금(IMF)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 국제 금융계의 심판들도 제각각으로 이뤄질 신흥국의 대응을 어떻게 조율할 지 고심하고 있다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신흥국이 금융 위기를 겪고 유사시를 대비해 오기는 했으나, 10여 년 만에 처음으로 이뤄지는 연준 금리 인상의 충격을 떨치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코메르츠방크의 신흥시장 담당 사이먼 퀴자노-에번스 애널리스트는 “신흥국들이 (충분히) 적절한 대응책을 마련했을 것으로는 보지 않는다”며 “유사시 첫 번째 방어선이 금리 조정일 것”이라고 지적했다. 하지만 그는 “한 가지 분명한 추세는 미국이 6∼9개월 안에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관측됨에도, 일부 신흥국 중앙은행은 (경기 부양을 위해 당분간) 계속 금리를 내릴 것이다”고 강조했다.
FT는 미국의 금리 인상 때문에 자본 이탈을 막으려는 신흥국의 대응이 이전보다 완연히 ‘비통상적 수단’에 의존하는 점도 지적했다. 보유 외환을 늘리는 것과 은행의 외환 거래 통제 강화가 이에 포함된다면서, 그러나 이것도 사실상의 자본 통제라는 것이 일부 경제학자의 견해라고 전했다.
또 신흥국이 90년대 말의 외환 위기 쓰라림을 겪고 나서 보유 외환을 대폭 늘려 그 규모가 7조 7천400억 달러에 달했다면서, 그러나 유사시의 환시장 개입 효과에 대한 시장 판단은 갈수록 회의적이라고 지적했다. 신흥국 중앙은행은 시장 개입으로 환투기꾼을 놀래려고 하지만, 제대로 먹히지 않는 것이 현실이라고 분석했다.
국제금융협회(IIF)의 찰스 콜린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더 어쩔 수 없는 최악 상황에서나 자본 통제에 의지하게 될 것”이라면서 “통화 정책에 대한 정치적 입김이 유난히 강한 터키가 자본 통제를 하면 놀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한국 등은 은행의 외화 채무에 과세하는 등 ‘거시 신중 수단’을 써왔음을 FT는 상기시켰다. 이는 자본 이탈로 금융 시스템이 취약해지는 것을 제한하려는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디지털미디어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