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8월 대구역 열차 충돌사고 때도 기관사가 신호를 위반하거나 허용 속도를 초과할 때 열차를 자동으로 정지하거나 감속하는 등의 기능이 있는 이 장치가 꺼져 있어 사고를 막지 못했다.
27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태원(새누리당) 의원이 코레일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말 현재 코레일이 운영하는 열차에 설치된 ATP는 413대로 일반열차와 고속열차에 각각 321대와 92대가 있다.
일반열차에 400억원, 고속열차에 84억원 등 모두 484억원이 투입됐다. 하지만 2009년부터 지난달까지 5년9개월 간 ATP 기능을 차단한 채 열차를 운행한 경우가 7,161차례에 달했다.
2009년 1,296건, 2010년 1,094건, 2011년 1,232건, 2012년 1,335건, 2013년 1,436건으로 증가 추세다.
올해는 768건으로 대구역 사고 이후에도 ATP를 끄고 운행하는 사례가 끊이지 않고 있다. 일반열차가 7,107건으로 99.2%를 차지했으며, 고속열차는 54건이었다.
원인은 제작불량 3,722건, 취급미숙 971건, 검수불량 219건으로 나타났다. 기타와 원인불명도 각각 1,331건과 868건이 있었다.
김 의원은 “철저한 원인 분석을 통해 개선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코레일은 “ATP 시스템에 오류가 발생해 차단해도 자동정지장치(ATS)로 전환 운행하기 때문에 열차 안전에는 문제가 없다”고 해명했다.
코레일은 이어 “ATP는 지난해 11월 전 차종에 사용을 시작하면서 초기 시스템이 불안해 일부 오류가 발생했지만, 장애방지 노력을 통해 오류가 감소세로 돌아섰다”고 덧붙였다.
코레일의 한 관계자는 “KTX의 경우 고속선에서는 전용 신호시스템(ATC)을 사용하고 있다”며 “고속열차 전용선으로 완전히 전환되면 ATP 사용 비중은 점차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디지털미디어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