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안심하기에는 이르다. 과부하로 전력을 생산한 화력발전소들의 이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상기후도 장담할 수 없다. 지난 2011년 순환정전 사태도 9월 중순에 발생했다는 사실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숨을 돌릴 게 아니라 가용전력을 재점검하고 안전성 확보 전제 아래 주요 원전의 재가동에 힘을 모아야 할 때다.
당장 신고리1ㆍ2호기와 신월성1호기는 당국의 의지에 따라 재가동을 앞당길 수 있다. 시험성적서를 위조해 가동이 중단된 이들 원전은 이미 불량 케이블을 뜯어내고 대체 케이블까지 납품 받은 상태다. 납품 완료된 케이블이 과거 제품에 비해 동등 이상의 성능을 지녔다는 테스트 결과가 8월 초에 나왔으나 정작 교체는 미뤄지고 있다. 원자력안전위원회가 결정을 미루고 있는 탓이다.
안전을 위해 신중을 기한다면 수긍할 수 있겠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납품사인 LS전선이 가격담합 혐의로 수사를 받는다는 이유로 교체가 지연되고 있다. 혐의가 입증되면 당연히 처벌을 받아야 하지만 담합 혐의와 케이블의 안전성은 별개 사안이다. 둘을 동일선에 올려놓고 부품교체를 지연시킬 어떤 이유도 없다. 원안위는 전력위기감이 극에 달했던 14일 한울4호기(옛 울진4호기)를 23개월 만에 다시 움직이면서 비상임위원 인선이 안 됐다며 재가동 시기를 닷새나 지연시킨 적도 있다.
대안이라는 외국산 부품 수입도 시험에만 6개월 이상 소요돼 오는 10월로 예정된 원전 4기의 가동이 내년 초여름으로 넘어갈 수밖에 없다. 연말 가동 예정인 신고리3ㆍ4호기까지 케이블이 교체되지 않으면 겨울철 전력위기로 직결될 게 뻔하다. 묵묵부답인 전력당국과 원안위는 일정이라도 밝혀 국민의 불안을 덜어야 한다. 방법이 있음에도 못한다면 무능과 책임 방기, 둘 중의 하나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