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봄비 한 주머니'
입력2000-04-02 00:00:00
수정
2000.04.02 00:00:00
유안진(59·서울대 사대 교수) 시인이 새 시집 ‘봄비 한 주머니’(창작과 비평사 발행)를 냈다. ‘누이’ 이후 3년 만에 묶어낸 신작 시집이다. 평론가 최원식씨는 이 시집에 붙인 해설에서 18세기 조선시대의 시인 자하(紫霞) 신위(申緯·1769~1835)의 한시 한 편을 인용하고 있다. ‘아름다운 이여, 낭군의 나이를 묻지 마시라/ 오십년 전에는 스물셋이었다네(佳人莫問郎年幾 五十年前二十三)’라는 이 시의 구절이 유씨의 새 시집을 보면 절실하게 느껴진다. 한 시절 많은 시와 에세이로 젊은이들의 가슴을 울렸던 그의 시세계가 등단 35년에 와닿은 연륜의 아름다움과 넉넉함을 새삼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자비로움’이라는 짧은 시는 그 세월에 시인이 획득한 여성으로서의 모성이나, 인간에 대한 생각의 깊이가 그림처럼 선명하게 드러나는 명편이다.
‘종일 헤매어/ 지친 애버러지/ 떨어져 시든 꽃잎 위에 엎드리니/ 내일 떨어질 꽃잎 하나가/ 보다 못해/ 미리 떨어져 이불 덮어주는/ 저녁답’
내일 떨어질 꽃잎 하나가 미리 자신을 던져 지친 벌레의 이불이 되어준다는 섬세한 이미지가 읽은 이의 가슴을 훈훈한 자비심으로 감싸안는다. 시집의 표제작도 이런 자비심의 표현이다. ‘320밀리리터짜리/ 피 한 봉다리 뽑아 줬다/ 모르는 누구한테 봄비가 되고 싶어서/ 그의 몸 구석구석 속속들이 헤돌아서/ 마른 데를 적시어 새 살 돋기 바라면서’.
시인의 이런 마음은 그러나 자신을 포함한 인간사의 철저한 죄값을 먼저 인식하는 데서 비롯된다. ‘버러지’라는 비유가 이번 시집에 실린 시들에서는 유난히 많이 눈에 띈다. 낙엽이 낙엽에게 말한다.
‘시뻘겋게/ 싯누렇게 물든 얼룩으로/ 거무죽죽/ 푸르딩딩 썩어 파인 자국으로/ 땅바닥에 엎드려 죄값을 기다리는/ 우리 모두는/ 결국 아무것도 아니었구나’(‘낙엽이 낙엽에게’부분)
‘이 장엄하고 성스러운 백설의 천지에서는/ 내가, 나 같은 버러지가 감히 할 수 있는 일은 없다/ 다만 그저 동맥이나 싹둑 잘라/ 아아 외마디나 바쳐올릴 수밖에는’(‘눈 쌓이는 밤’ 부분).
시인의 표현에 따르면 ‘가장 잔인하고 흉물스런 짐승’인 인간에 대한 이런 철저한 자기비판의 길을 지나서야 비로소 미리 떨어져 이불이 되는 꽃잎의 자비에 다다를 수 있을 것이다. 그 길을 시인은 ‘세한도 가는 길’이라 부른다. 추사의 ‘세한도’를 보고 유씨는 우리가 걷는 길이 알발로 얼음장 길을 가는 것이라 깨달아 보여준다. ‘천명이 일러주는 세한행(歲寒行) 그 길이다/ 누구의 눈물로도 녹지 않는 얼음장 길을/ 닳고 터진 알발로/ 뜨겁게 녹여 가라신다’(‘세한도 가는 길’ 부분).
모든 시인은 단 한 편의 시를 꿈꾼다. 유씨는 “오기나 욕심 같아서는 이 한 편을 쓰기 위해 태어났다고 할 만한 시를, 쓰고 나선 죽어도 좋다 싶은 시 한 편을 써보고 죽고 싶었습니다마는…”이라고 말했다. 그의 이번 시들은 바로 그 한 편의 시에 이르기 위한 고통의 도정으로 읽힌다.
하종오기자입력시간 2000/04/02 20:57
오늘의 핫토픽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