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오늘의 경제소사/12월4일] 갑신정변

[오늘의 경제소사/12월4일] 갑신정변 1884년 12월4일. 개설 축하연이 한창이던 우정총국 부근 민가에서 불길이 솟아올랐다. 파티는 깨졌다. 갑신정변의 시작이다. 정변은 피를 불렀다. 경우궁으로 피신한 고종을 찾아온 조영하와 민태호 등 대신 11명의 목이 잘렸다. 200여명의 일본군을 등에 업은 개화파는 이튿날 내각 명단을 발표했다. 정변 사흘째 아침 고종은 대대적인 혁신책을 내놓았다. 거사는 성공하는 것처럼 보였다. 상황을 뒤짚은 것은 1,500명의 청나라 군대. 일본군은 밀렸다. ‘일본군 1명이면 청군 20명을 이길 수 있다’던 호언장담과 달리 첫 싸움에서 30여명이 죽었다. ‘위로부터의 개혁’은 3일천하로 끝났다. 김옥균은 박영효와 서재필ㆍ서광범과 함께 본국으로 패주하는 일본군을 쫓아갔다. 실패한 쿠데타의 뒤에 군중의 분노가 닥쳤다. 박영교와 홍영식이 군중의 손에 죽었다. 정독도서관(구 경기고)이 들어선 김옥균의 생가와 일본 공사관이 불탔다. 갑신정변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분명한 것은 쿠데타를 결심한 동기가 재정문제에서 비롯됐다는 점이다. 고종의 위임장을 소지한 김옥균이 시도한 일본에서의 국채 발행이 ‘위임장은 위조’라는 수구파의 모함으로 무산된 게 도화선이다. 갑신정변 8개월 전의 일이다. 견제세력이 없어진 수구파는 독일인 고문 묄렌도르프의 권고대로 악화(惡貨)인 당오전을 마구 찍어냈다. 인플레에 찌든 민초의 마지막 고혈은 왕처럼 군림하던 위안스카이(袁世凱)의 위세를 업은 청상(淸商)에 의해 다시 짜여졌다. 신학문과 신문물은 반역의 싹을 키우고 임금과 가족을 저버리는 짐승이 되는 길로 여겨졌다. 조선은 근대국가로 변신할 수 있는 ‘10년의 세월’을 잃어버렸다. /권홍우ㆍ경제부차장 입력시간 : 2004-12-03 17:51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