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정된 당헌·당규에 따르면 이 신임 대표는 새누리당 창당 이래 가장 강력한 권한을 행사하게 된다. 공천권이 없고 대선후보로 나설 수는 없지만 인사권을 포함한 ‘당무를 통할’하면서 사실상 당을 지배하게 돼 있다. 그동안 지도부 역할을 해온 최고위원회가 고질적 병폐인 새누리의 계파 갈등으로 ‘대표 따로 최고위원 따로’ 식의 혼선을 빚으며 여당으로서의 국정 주도권을 잃게 되고 결과적으로 지난 총선에서 패배하게 됐다는 반성에서 도입된 제도다.
이 대표의 1차 과제는 당연히 계파 갈등의 수습과 봉합이다. 친박근혜와 비박근혜 간의 해묵은 갈등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고 이를 수습하지 않고는 한걸음도 나갈 수 없기 때문이다. 당장 4·13총선 참패 이후 당의 체질을 바꾸겠다고 출범했던 ‘혁신비상대책위원회가 ‘맹탕’이라는 평가를 받은 것도 양대 계파가 당 개혁안을 놓고 사사건건 충돌한 결과였다. 경선 과정에서 노출된 친박계와 비박계 간 갈등 또한 과연 전대 이후 같은 당으로 함께 갈 수 있겠는가 하는 의문까지 들게 했다.
지지부진한 당 혁신도 재추진해야 한다. 새누리당이 지난 총선에서 유권자에게 외면받은 것은 보수정당으로서 정체성도 분명치 않으면서 구태(舊態)인 집안싸움에만 몰두하는 모습만 보였기 때문이다. 당을 근본적으로 바꾸지 않고는 내년 대선에서 정권 재창출은 꿈도 꾸지 말라는 것이 현재의 민심이다. 이 대표에게는 새누리의 미래와 박근혜 정부의 제대로 된 국정 마무리에 대한 책무가 동시에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