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5일 국토교통부는 용산공원조성 추진위원회와 출입기자단을 대상으로 개최한 공원조성계획 추진상황 설명회에서 용산공원 조성 관련 변경된 기본방향을 밝혔다.
◇신축 건물 없이 기존 건물 활용
국토부는 지난 4월 검토했던 8개 시설물 활용방안이 민족성·역사성·문화성이라는 공원 조성 기본 이념과 어울리지 않다는 지적에 따라 앞으로 부지 위에 건물을 신축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현재 용산 공원 부지 내 1,200여 개의 건물도 80여 개 동만 남기고 대부분 철거한다. 남겨진 건물은 전문가의 검토와 관계기관 협의, 국민적 공감대를 거쳐 활용 방안을 판단할 예정이다. 철거된 건물 부지 역시 사라지게 방치하는 것이 아니라 건물이 지니고 있던 역사성과 문화성 등을 보전하면서 공원의 일부로 자연스럽게 배치할 계획이다.
용산공원조성추진위는 총 18차례의 현장조사를 통해 지형, 수목, 기존 건축물 등의 조사결과를 계획수립 과정에 반영해 왔다. 오는 2017년 미군기지 평택이전이 완료되면 그동안 조사가 어려웠던 토양, 지하시설, 건물내부 등에 대한 세부조사를 추가로 실시해 조성계획을 보완하겠다는 목표다.
승효상 이로재 건축사사무소 대표는 “용산공원이 가진 의미와 생태공원이라는 계획의 취지를 고려하면 건물을 새로 짓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판단했다”며 “다른 세부적인 부분은 향 후 의견 수렴 과정 등을 거쳐 수정될 수 있으나 건물 신축을 하지 않겠다는 계획은 바뀌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소통 채널 다양화 통한 열린 계획 수립
2027년까지 용산 공원을 완성하겠다던 기존의 계획도 수정했다. 용산공원조성특별법에 따른 ‘종합기본계획’에서 제시됐던 공원 조성 추진 일정을 사회적 의견과 주변 여건에 따라 유연하게 운영하겠다는 방침이다.
국토부는 사회적 의견을 최대한 수렴하겠다는 계획에 따라 민간이 주도하는 공론의 장을 마련한다. 우선 공원 인근 주민과 일반 국민이 현장방문이나 간담회, 설명회 등을 통해 공원 조성계획 수립과정에 참여할 수 있게 하는 국민참여단을 온·오프라인을 통해 내년 상반기에 선발한다. 뿐만 아니라 각 분야의 전문가와 함께 용산공원 조성을 주제로 한 심층 토론회를 정례화하고, 다양한 현안에 대응하기 위해 서울시·국방부·문화재청 등 주요 관계기관과의 실무협의를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배성호 국토부 용산공원정책 과장은 “2027년까지는 공원의 기본적인 틀과 토대를 마련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공원 내부의 다양한 부분은 긴 시간 동안 사회적 논의를 거쳐 채워나갈 것”이라며 “기본적으로 도시계획 자체가 여건에 따라 끊임없이 진화해나가는 것이기 때문에 용산공원 역시 100년을 내다보고 만들어 나가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정순구기자 soon9@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