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헬로 사이언스]5억년전에 살았던 히올리스의 정체는?

5억년전에 살았던 히올리스의 상상도. 과학자들이 히올리스의 화석을 연구한 결과 완족류에 가깝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5억년 전에 캄브리아기 때 삼엽충과 함께 바다 밑바닥에 살았던 특이하게 생긴 생물이 있다. 바로 히올리스다.

아이스크림 콘처럼 생긴 두 개의 껍데기로 몸을 감싸고 있으며, 트랩 도어처럼 생긴 뚜껑을 갖고 있다. 엄니 처럼 생긴 두 개의 가시가 뚜껑의 경첩 부위의 연한 조직을 뚫고 튀어 나와 있다. 입 주위에는 촉수가 펄럭이고 있다.

히올리스는 19세기에 처음 발견된 이후, 고생물학자들을 어리둥절하게 만들었다. 어떤 고생물학자들은 이것이 달팽이나 조개와 같은 연체동물이라고 생각했고, 다른 고생물학자는 고유종의 동물이라고 생각했다.

토론토 대학의 학생인 조셉 모이슈크는 그 미스테리를 풀었다. 1,500개 이상의 히올리스 화석을 분석한 결과, 모이슈크는 히올리스가 현재 촉수관 동물로 알려진 그룹, 즉 완족류(작은 촉수로 먹이를 찾는 조개류)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고 결론 내렸다고 12일 뉴욕타임스(NYT)가 보도했다. 완족류는 조개처럼 두 개의 껍질을 가진 연체 동물이다.

이로써 히올리스는 진화의 생명의 나무에 확실히 자리 잡게 됐다. 생명이 나무는 지구 생물종들이 서로 얼마나 유사한지 비교하는 계통도로서, 생물종 간의 유전학과 발생학의 관계를 보여준다.



히올리스의 미스테리를 푸는데 열쇠는 히올리스의 연한 조직이었다. 고생물학자들이 화석을 발견할 때면 대게 이빨이나 뼈, 껍데기 등 처럼 딱딱한 부분이 남아 있다. 연한 조직은 화석이 잘 안 만들어져 발견하기 힘들다. 하지만 모이슈크가 발견한 몇몇 화석은 연한 조직이 남아있었다. 많은 화석 표본이 고생대 화석 산출지로 알려진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의 버제스 셰일에서 나왔다.

전자 현미경이나 다른 도구를 이용한 스캐닝을 통해 황 성분을 추적한 결과, 모이슈크는 몇 개의 샘플에서 입 주위에 촉수가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불과 몇 센티미티에 불과한 히올리스의 표본을 현재의 연체동물이나 완족류와 비교한 결과, 모이슈크는 촉수가 실질적으로 촉수관으로 불리는 먹이를 먹는데 필요한 조직이라는 점을 발견했다. 이는 완족류를 포함한 촉수관 동물의 특징적인 구조다.

모이슈크는 “우리는 몇 몇 화석에서 촉수관을 확인했을 때, 환호성을 질렀다”면서 “175년만에 미스테리를 풀수 있어서 좋았다”고 말했다.

모이슈크와 그의 동료들은 엄니 모양의 구조물이 어떤 용도로 쓰였는지에 대한 토론을 했다. 모이슈크와 그의 동료들은 이 엄니 구조가 바다 바닥에서 먹이를 지탱하도록 해서, 필터링 해서 먹을 수 있도록 돕는다고 생각했다.

런던 임페리얼 칼리지의 고생물학자인 마크 서턴은 “연한 조직을 충분히 발견했다는 것은 대단한 성취”라면서 “이제 히올리스를 다루는 교과서를 다시 써야 하는 상황이 됐다”고 말했다. /문병도기자 do@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