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은 세계적으로 연간 1,500만 명에게 발생하는 신경질환이다. 뇌졸중 환자의 손목 같은 관절에는 경직이 나타나며, 근육과 인대 등에 걸쳐 변화가 발생해 뻣뻣해진다. 즉, 관절의 기계적인 저항이 증가하는 것이다. 임상전문가들은 손으로 환자의 관절을 움직여보고, 관절의 기계적 저항력의 크기를 평가한다. 이를 바탕으로 경직 정도를 정성적으로 진단하는 것이다. 이 경우 사람의 경험과 손 감각에 의존하므로 결과가 달라질 수도 있다. 또 한 번에 한 관절의 기계적 저항만 평가할 수 있다는 한계도 있다.
강상훈 울산과학기술원(UNIST) 기계항공 및 원자력공학부 교수는 손목과 아래팔의 기계적 저항을 로봇으로 수분 내에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일 발표했다.
로봇이 마사지 기계처럼 작은 진동을 주면, 손목과 아래팔에는 그 힘에 따른 움직임이 생긴다. 이를 측정하면 기계적 저항 값을 객관적·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 기술은 특히 손목과 아래팔의 경직을 여러 방향에서 측정 가능하다. 연구진은 세 방향 회전을 측정해 기계적 저항 값을 알아냈다.
강상훈 교수는 “이 기술은 뇌졸중 같은 신경질환의 정량적 객관적 진단보조에 활용할 수 있다”며 “산재병원을 비롯한 재활병원 등에서 환자 및 장해맞춤형 정밀 로봇재활의 새 장을 여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에는 장평훈 DGIST 교수와 박경빈 삼성전자 박사가 참여했다. 연구 결과는 재활분야의 저명한 학술지인 ‘국제전기전자공학회 신경시스템 및 재활공학 저널’ 최신호(5월호)에 ‘주목할 만한 논문’으로 실렸다.
/문병도기자 do@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