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2017 청년을 말한다] 제2 우버 독려하지만...멘토링 넘어 현장 전문가 실전교육 시급

<4>중구난방 청년정책 - 업그레이드 절실한 청년창업 지원

트렌드 정보·사업성 검증 등 도움줄 성공 창업자와 연결

한번 실패하더라도 다시 일어설 수 있는 기반도 다져야

4차혁명 시대 '현장·실전형'으로 지원시스템 개선 필요





천재적인 창업가이자 영화 ‘아이언맨’의 실제 모델로도 유명한 일론 머스크 테슬라모터스 최고경영자(CEO). 그는 불과 24세의 나이에 집투(ZIP2)라는 인터넷 회사를 만들었다. 회사는 4년 만에 3억7,000만달러에 팔려 머스크는 20대에 이미 백만장자의 반열에 올랐다. 그는 여기서 만족하지 않고 30대 중반까지 3개의 회사를 추가로 창업해 모두 성공시켰다.

미국에서 머스크와 같은 청년 창업 성공 스토리는 특별한 것이 아니다. 페이스북의 마크 저커버그는 20세의 나이에 창업했고 우버의 트래비스 캘러닉은 33세 때 설립한 우버로 히트를 쳤다. 중국 역시 중국판 우버 ‘디디추싱’의 청웨이(29세 창업), 중국 2위 온라인쇼핑몰 ‘징동’의 류창둥(24세 창업) 등 잇따라 스타 창업자를 배출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는 세계적인 스타 창업자라 할 만한 사람이 마땅치 않다. 1990년대 말 네이버의 이해진 창업자, 카카오톡의 김범수 의장 등이 나왔지만 그마저도 이후에는 명맥이 끊겼다. 성공 사례를 따지기 이전에 한국에서는 외국처럼 20대 청년이 창업을 시도하는 것 자체가 희귀한 일이다. 중소기업벤처부에 따르면 신생 창업기업 중 29세 이하가 대표인 경우는 2015년 0.9%, 지난해 3.5%에 그쳤다. 요즘처럼 취업이 힘든 시대에 창업 활성화는 훌륭한 일자리 대책이지만 창업을 둘러싼 환경이 좋지 않다 보니 청년들의 고통만 커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창업이 어려운 이유는 무엇일까. 전문가들은 이구동성으로 청년에 대한 지원 자체가 부족한 게 가장 큰 문제라고 지적한다. 한국은 김대중 정부 때부터 청년 창업에 대한 지원을 늘려 창업 교육부터 창업자 컨설팅, 지원 인프라, 정책 자금까지 각 단계별로 제도를 나름 잘 갖추고 있다. 문제는 지원의 ‘양’이 아닌 ‘질’이다. 지원책이 현장과 동떨어진 부분이 많아 주먹구구식 지원에 그친다. 이 때문에 인공지능 등 기술이 첨단화하는 시대에 맞게 정부 지원 시스템도 현장형·실전형으로 업그레이드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가장 개선이 시급한 것 중 하나가 창업 컨설팅이다. 20~30대 청년은 경험이 부족해 선배 창업자들의 멘토링이 절실하다. 청년이 도전하려는 분야의 트렌드에 대한 정보 제공부터 창업자의 사업 아이템이 현실성 있는지 검증해주고 사업 과정에서 필요한 다른 전문가를 연결시켜주는 일까지 온갖 도움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중소기업청, 중소기업진흥공단, 신용보증기금, 지역 창조경제혁신센터 등 각종 기관들이 창업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고는 있다. 하지만 정부가 지원하는 전문가 풀은 현장에서 떠난 퇴직자들이 대부분이다. 청년 창업자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성공한 현직 기업가들은 멘토링에 나서지 않는다. 현업을 희생하면서까지 멘토링을 할 만한 유인이 적기 때문이다.

로봇 모듈 플랫폼 기업 ‘럭스로보’의 창업자 오상훈 대표는 “창업 과정에서 필요한 멘토를 구하기 힘들어서 일일이 선배 창업자들을 찾아가 애원하다시피 해서 도움을 받았다”고 말했다. 그는 “멘토들의 도움이 없었으면 지금 자리까지 못 왔을 것”이라면서 “정부가 창업을 활성화하고 싶으면 최근에 성공한 창업자들에게 적절한 보상을 제공해 현장 전문가 풀을 충분히 갖추는 것이 가장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한국은 창업에 실패하면 재기할 수 있는 기반이 부족한 점이 창업을 가로막는 문제 중 하나로 거론된다. 이 재기 기반 역시 현장 전문가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오 대표는 “실패한 기업가에겐 정부 지원을 계속 받을 수 있는 기회가 필요한데 정부로서는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를 우려해 지원을 꺼리는 경향이 있다”며 “이때 경험이 풍부한 현장 전문가로 하여금 ‘싹수’가 보이는 창업자를 선별하도록 하고 해당 기업 육성에 책임을 부여하면 재기 확률이 높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창업 교육에 있어서도 현장성이 절실하다. 양현봉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최근 대학에서 창업 교육을 하는 강좌 수는 엄청 늘었는데 이론적이고 형식적인 내용이 대부분”이라며 “이런 교육으로는 창업가를 제대로 기를 수 없다”고 꼬집었다. 이어 “백 번 듣는 것보다 한 번 해보는 게 낫다고 실제 창업을 해 보면서 배우는 실전 교육이 확산돼야 한다”며 “선진국은 이런 ‘러닝 바이 메이킹(Learning by making)’ 교육이 대세”라고 지적했다.

원성권 가톨릭관동대 교수는 “창업 교육을 하는 교수들부터 직접 창업을 하는 등 ‘실전형’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 스탠포드 대학도 교수진의 역량을 개발하는 것이 창업 교육 강화의 핵심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창업 정책자금 지원도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재 청년전용창업자금만 지원액이 1,400억원에 이르는 등 규모는 적지 않지만 주로 기술기반형 창업에 지원하고 지원 용도도 제품 생산, 사무 공간 지원 등 범위가 좁은 편이어서 정말 필요로 하는 기업과 용도에 지원이 가지 않는 경우가 적지 않다는 것이다.

창업지원 제도는 많지만 홍보 부족으로 적절한 혜택을 주지 못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중소벤처기업부 조사에 따르면 7년 미만 중소기업의 86.2%는 창업지원 사업에 신청한 경험이 없다고 대답했다. 그 가장 큰 이유는 ‘지원책을 알지 못해서(46.5%)’였다. /서민준기자 morandol@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