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가 인공지능(AI)과 블록체인 등 4차 산업혁명의 대표 기술을 활용한 고용서비스 혁신을 구상하고 있다. AI 상담서비스, 블록체인 기반 채용정보 시스템 등을 구축해 인력과 비용을 효율화하겠다는 의도다.
30일 관가에 따르면 고용부는 최근 ‘자연어 처리기술을 활용한 고용서비스 혁신’이라는 주제로 정책 용역과제를 발주했다. 올해 말까지 진행하는 이번 과제의 성과를 토대로 고용부는 컴퓨터가 손글씨와 음성을 인식해 민원인을 응대하는 고용노동 행정서비스를 구체화할 계획이다. 현재는 민원인이 쓴 서류 내용을 고용부 직원이 수작업으로 전산에 입력하거나 민원상담을 일일이 상담원이 처리해야 한다. 고용부 관계자는 “민원인이 쓴 손글씨를 컴퓨터가 디지털로 인식하는 문자인식(OCR)과 질문을 알아듣고 적합한 답변을 내놓는 음성인식은 모두 빅테이터를 활용한 AI 기술의 일종”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고용부는 블록체인 기반 채용 시스템 구축 방안을 검토하기로 하고 지난 6월께 국내의 한 기업에 기술연구를 맡기기도 했다. 지금까지는 구직자가 일일이 대학 졸업·성적증명서나 자격증을 발급받아 취업하려는 기업에 제출해야 했다. 고용부는 새 시스템을 구축하면 증명서 발급기관이 직접 기업에 공인된 증명자료를 넘겨 취업활동비용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블록체인은 이 시스템을 현실화하고 보안을 책임지는 기반 기술이다.
고용부는 고용과 실업, 근로기준에 관한 사안을 다루는 업무 특성상 인력 규모가 큰 편이다. 고용부 현황을 보면 정책을 다루는 본부 인력은 611명에 불과하다. 하지만 전국 각지 소속기관은 64개이며 인력도 9,089명에 이른다. 하지만 민원이 계속 밀려들면서 인력 부족과 업무 지체가 심각하다는 지적이 많다.
고용부가 기술적 난관을 뚫고 AI·블록체인 기반의 고용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을지는 정부조차 반신반의하는 눈치다. 고용부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네이버 등 일부 대기업을 제외하면 국내 관련 기업의 기술 수준은 만족스럽지 않다”며 “4차 산업혁명을 이용한 고용서비스 혁신은 아직 장담할 수 없다”고 말했다.
/세종=이종혁기자 2juzso@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