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금리 인상과 같은 통화정책 변화로 인해 원자재 수출국의 소비, 생산, 투자 등의 변동성이 커졌지만, 한국과 같은 원자재 수입국에는 영향을 크게 끼치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김명현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은 17일 BOK경제연구 ‘미국의 통화정책이 원자재 수출국과 수입국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보고서에서 “미국의 통화정책은 원자재 수입국보다 수출국에, 원자재 수출국이 고정환율제를 채택할 경우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 밝혔다. 또 “한국은 변동환율제를 채택하고 있는 원자재 수입국으로, 미국의 통화정책이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내다봤다.
분석 결과 미국이 금리를 인상하면 미국의 총수요가 감소해 원자재 수입 수요가 줄고 그에 따라 국제 원자재 가격이 하락한다. 이 때문에 원자재 수출국의 수출이 수입국보다 더 큰 폭으로 감소하면서 수출국의 생산도 수입국보다 더 줄어든다. 미국이 금리를 인하한 경우에도 같은 경로를 거쳐 원자재 수입국보다 수출국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원자재 수출국이 고정환율제를 채택하면 미국의 통화정책이 원자재 수출국·수입국 모두에 미치는 파급 효과는 더 커진다. 미국 금리 인상으로 빚어지는 환율 변동을 예방하기 위해 원자재 수출국은 변동환율제의 경우보다 이자율을 더 큰 폭으로 상승시켜야 한다. 이에 따라 원자재 수출국의 생산이 변동환율제 때보다 더 많이 감소한다. 고정환율제인 원자재 수출국의 이자율이 변동환율제 때보다 더 많이 상승함에 따라 해당 수출국의 환율은 더 크게 절상되면서 원자재 수입국의 수입물가, 물가 상승률은 증가한다. 이에 따라 원자재 수입국의 이자율은 더 크게 상승하고 생산은 둔화한다.
김 부연구위원은 “G7(미국·일본·영국·프랑스·독일·캐나다·이탈리아)을 제외한 원자재 수출국들은 대부분 고정환율제”라며 “베네수엘라,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등이 고정환율제인 원자재 수출국”이라고 밝혔다. 김 부연구위원은 “고정환율제를 채택하는 원자재 수출국의 경우 경제 안정을 위해 미국의 통화정책을 면밀히 모니터링 해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정현정 인턴기자 jnghnjig@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