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최근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에 대해 “내년에 40%를 넘기게 되고 2022년에는 45%에 이를 것”이라고 언급한 것도 걱정스러운 대목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국가채무 비율을 40%로 유지해야 하는 근거가 무엇이냐”면서 재정확장 정책을 주문하자 국가채무 비율 40% 유지 입장을 고수해온 홍 경제부총리의 입장이 갑자기 바뀐 것이다. 국가채무를 늘리려는 것은 내년 4월 총선과 2022년 대선을 앞두고 선심성 복지예산 증액 등을 염두에 둔 포석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나랏빚이 크게 늘면 그 부담은 차기 정권과 미래 세대로 넘어간다. 또 홍 부총리가 지난 2일 “현재 만 60세인 정년을 연장하는 문제를 논의할 시점”이라며 정년 연장 카드를 꺼낸 것도 고령층의 표심을 고려한 총선용이 아니냐는 얘기가 나온다. 노동시장 유연화를 비롯한 노동개혁 등과 함께 추진하지 않으면 정년 연장은 오히려 고용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다. 눈앞의 표를 계산하는 포퓰리즘 정책을 시행하면 경제 상황은 더 꼬이게 된다. 백년대계 차원에서 정책을 정교하게 다듬어 추진해야 미래 세대의 짐을 덜어주면서 경제위기의 늪에서 벗어날 수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