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뇨의학과 전문의들이 주축이 돼 만든 대한남성난임대책개발위원회의 문두건 회장은 17일 위원회와 김광수 민주평화당 의원이 공동 주최한 ‘저출산 시대의 남성 난임 극복 토론회(국회의원회관 2세미나실)’에서 “그동안 국가 난임정책이 여성 난임과 산부인과 지원에 치중됐다”며 “사업계획 단계부터 정액검사 등을 포함한 남성 난임의 진단·치료 등 비뇨의학과 지원이 들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승기 대한비뇨의학회 보험이사(경찰병원 비뇨의학과)는 “자가 정액채취를 위한 독립된 공간도 필요하고 일회용 장갑, 윤활액 등 추가 재료나 시간이 많이 소요되지만 건강보험 정액검사 수가(약 4,700원)가 낮다 보니 검사를 하는 의료기관 수가 매우 적은 편”이라며 “정액검사 활성화를 위해서는 ‘자가 정액채취료’ 신설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항문 질환을 진찰하는 직장수지검사는 별도 수가가 있지만 남성 생식기 진찰에는 별도 수가가 없다”고 지적했다.
남성 난임은 정자의 개수·운동성·모양에 이상이 있는 경우와 정액에 정자가 없는 무정자증으로 나뉜다. 남성의 1%가량이 무정자증이다.
정액에 이상이 있는 경우는 생활습관이나 만성질환이 원인이 되며 음낭 내 혈관에 이상이 있는 정계정맥류 등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정계정맥류는 수술로 교정할 수 있으며 수술 이후 자연임신 확률이 45∼60%까지 증가한다. 고환에서 정자가 정상적으로 형성되지만 정자가 지나가는 길이 막힌 경우도 수술로 교정이 가능하다.
/임웅재기자 jaelim@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