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민 10명 중 6명 이상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실시되고 있는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를 한 차례 더 연장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가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만 18세 이상 서울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성·연령·권역별 인구비례표집 기반 온라인 패널조사를 10∼12일 실시해 17일 공개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97.0%는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 종료시점인 19일 이후에 일상생활을 일부 회복해 일상과 방역이 조화를 이루는 ‘생활방역체계’로 전환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전환 시점에 대해서는 ‘4월 19일 바로 생활방역체계 전환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33.4%에 그쳤고, ‘전환이 필요하지만 4월 19일은 이르다’가 63.6%로 다수를 차지했다. 생활방역체계로 전환하는 시점을 판단하는 적정 기준으로는 ‘확진자 수 상관없이 정부가 통제가능한 대응체계가 갖춰졌다고 판단할 때’가 36.5%로 1순위로 꼽혔다. 이어 ‘신규 확진자 10명 이하일 때’가 33.8%, ‘30명 이하일 때’가 19.6%, ‘50명 이하일 때’가 9.2%였다.
생활방역체계로 전환이 필요하다는 가장 큰 이유로는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경제활동 정상화를 통한 경제위기 극복’(51.3%)을 선택했고, ‘장기간 거리두기로 인한 피로도와 심리불안 완화’(19.8%), ‘외출 및 신체적 활동 재개 필요’(13.5%) 등의 순이었다. 생활방역체계로 전환할 때 가장 우려되는 상황(복수응답)으로는 ‘무증상 감염 등 원인 미상 감염’(58.5%) 및 ‘새로운 대규모 집단 감염 발생’(41.6%), ‘다중시설의 수칙 미준수’(32.8%), ‘국가통제 불가상황 발생’(30.1%) 등을 꼽았다.
응답자 중 48%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가족의 수입이 감소했다고 답했으며 가족구성원 중 한 명 이상이 실직했다고 한 경우도 17.6%였다. 특히 화이트칼라 계층보다 자영업자나 블루칼라 직업군 중에서 가계 수입 감소나 가족구성원 실직을 경험한 비율이 높았다.
한편 시민들은 서울시 코로나19 대응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전체 응답자의 76.9%가 시가 대처를 잘하고 있다고 평가했으며 잘못하고 있다는 응답은 23.1%였다. 대응의 신속성(77.8%)과 정보공개의 투명성(78%), 행정조치의 적극성(70.2%)에 대해 높은 만족도를 나타났다.
박진영 서울시 시민소통기획관은 “감염병에 대한 대응뿐 아니라 민생경제 등 시민의 불안요인을 줄일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겠다”며 “생활방역단계로의 전환에 앞서 시민들이 우리사회의 통제역량에 대해 신뢰를 가질 수 있도록 전방위적 대응체계를 구축해나가는 한편 시민들과의 소통에도 보다 힘쓰겠다”고 전했다.
이번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 포인트다./성행경기자 saint@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