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무릎 인공관절 수술을 받은 사람은 7만7,300여명으로 지난 2015년의 약 5만5,600명보다 39% 늘어났다. 인구 고령화와 방·거실 바닥에 앉는 좌식생활 등의 영향이다.
무릎 관절염은 무릎 관절을 이루는 뼈와 뼈 사이에서 무릎을 보호하고 완충작용을 하는 연골이 닳아 뼈끼리 마찰돼 나타난다. 그래서 흔히 퇴행성 관절염 또는 골관절염이라고 한다.
닳아버린 무릎 관절을 인공관절로 바꿔주는 수술(무릎 인공관절 전부·부분치환술)은 인공관절의 수명 문제로 대개 65세 이후에 할 것을 권한다.
무릎 인공관절 수술은 관절염 말기 환자에게 시행하는 만큼 자신의 무릎 연골이 조금이라도 남아 있다면 수술보다 남은 연골을 강화시키고 무릎에 부담을 주는 생활습관 교정, 운동 등 다른 치료를 우선 권한다.
다만 관절염으로 통증이 심하다면 무조건 참고 견디기보다 상태를 잘 살피는 게 중요하다. 소염진통제를 먹어도 통증이 완화되는 시간이 짧고 무릎 사이 간격이 벌어져 ‘O다리’ 변형이 심하게 나타나는 등 연골이 다 닳았다면 인공관절 수술을 하는 게 좋다. 골다공증이나 만성 질환을 가지고 있어도 내과 협진으로 수술을 받을 수 있다.
이수찬 힘찬병원 대표원장은 “수술에 대한 부담이나 시기에 대한 고민으로 치료를 미루고 통증을 참기보다 자신의 상태를 전문의와 함께 꼼꼼하게 확인해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게 좋다”며 “인공관절의 수명·성능 개선과 수술·마취기법 등의 발전으로 수술의 안정성이 높아졌고 수술 합병증은 1% 정도로 낮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인공무릎관절 수술에 대한 잘못된 오해 중 하나는 수술 후 ‘뻗정다리’가 돼 다리를 자유롭게 구부렸다 폈다 하지 못하게 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관련 기술의 발전으로 본래의 관절과 비슷하게 움직일 수 있어 수술 후 재활치료와 지속적인 관절·근력운동이 뒷받침되면 125도 이상 무릎이 굽혀지며 평지보행, 계단 오르내리기, 의자에 앉고 일어서기 등 일상생활과 여가활동에 지장이 없다.
중기 관절염 환자는 관절내시경 수술로 증상 완화를 기대할 수 있다. 초소형 카메라를 이용해 관절 내부를 진단·치료하는 방법으로 무릎 내 연골판이 손상된 경우 봉합하거나 절제하며, 연골이 상한 경우 연골 이식·재생을 시행한다. 부분마취만 한 채 이뤄지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환자가 수술 중 집도의와 함께 모니터를 보면서 수술 경과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 대표원장은 “관절내시경 수술로 연골 손상 부위를 제거해도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면 추가적인 손상이 있을 수 있지만 적절한 관리와 치료가 병행되면 추후 인공관절 수술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
무릎 통증이나 부종이라는 증상만으로는 필요한 수술의 종류를 결정할 수 없다. 자기공명영상(MRI) 등 필요한 검사와 전문의의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게 중요하다. /임웅재기자 jaelim@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