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중계무역 기지' 홍콩 관세폭탄땐 韓수출 휘청…금융도 비상

[홍콩보안법 후폭풍 - 韓경제 영향]

'특별지위' 박탈되면 美 관세부과

對홍콩 수출 70% 반도체 직격탄

'亞 금융 허브' 역할도 상실돼

외국계자본 대거 이탈 불가피

'해외투자 핵심거점' 붕괴 촉각

지난 27일 홍콩 보안법 반대 시위 현장에서 진압 경찰이 시위에 참여한 시민을 에워싸고 있다./AP연합뉴스




홍콩 국가보안법으로 촉발된 미·중 신(新)냉전이 우리나라의 홍콩 수출과 국제금융 전략이 직간접적인 타격을 입을 것으로 전망된다.

29일 수출 기업들과 금융권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미국 대통령이 홍콩 보안법 제정을 강행한 중국에 대한 보복 조치로 홍콩에 부여한 특별지위를 박탈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바짝 긴장하고 았다. 홍콩을 중계무역 기지로 활용하는 우리 기업들은 사태 악화를 대비해 홍콩 소재 법인의 싱가포르 이전 등 비상 대책 마련에 돌입했다. 이 날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 동향분석실은 ‘홍콩보안법 관련 미중 갈등과 우리 수출 영향’ 보고서를 통해 “홍콩이 특별지위를 잃게 되면 중국 본토와 마찬가지로 미국이 부과하는 최대 25%의 추가 관세를 부담해야 한다”며 “금융 허브로서 역할을 상실하게 돼 외국계 자본이 대거 이탈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미국은 1992년 홍콩법을 제정해 홍콩이 자치권을 행사한다는 전제 하에 비자 발급, 투자 유치, 법 집행 등에서 홍콩을 중국 본토와 달리 특별 대우해 왔다. 낮은 법인세, 안정된 환율제도, 중국 본토로의 접근성, 증치세(부가가치세) 절감 등의 효과로 홍콩은 우리나라의 4위 수출국으로 자리매김했다.

하지만 미국의 제재 조치가 현실화 돼 홍콩을 더 이상 중계무역 경유국으로 활용하기 어려워질 경우 대(對) 홍콩 전체 수출 가운데 69.8%를 차지하는 반도체 업계는 직격탄을 맞는다. 물류비용 증가와 대체 항공편 확보 애로 등으로 단기 수출에 차질이 발생할 뿐 아니라 홍콩 수출 물량의 90% 이상이 중국으로 재수출 되고 있는 만큼 중국으로의 직수출 전환은 불가피하다. 이 같은 어려움은 중소 및 중견 수출기업일 수록 어려움이 클 것으로 보인다. 삼성·SK하이닉스 등 대기업도 중국으로의 직수출 시 미국 눈치를 더 봐야 하는 정치적 부담이 증가한다. 무역협회 관계자는 “양국의 강대강 대치가 장기화 될 경우 홍콩의 기능이 상실될 가능성이 있으면서 우리 수출에 대한 부정적 영향도 확대될 것”이라며 “현재 미국의 중국 제재가 시스템반도체에 국한되어 있지만 향후 우리 주력 상품인 메모리반도체로 확대될 가능성도 존재한다는 점에서 향후 불확실성이 더욱 커질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홍콩으로 수출되는 반도체 가운데 79.5%가 메모리 반도체로 시스템반도체는 18.8%를 차지한다.



자본의 자유로운 이동과 낮은 규제, 인력 밀집 등 금융친화적인 홍콩을 해외투자 비즈니스의 핵심 거점으로 삼고 있는 국내 금융업계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미국이 홍콩의 특별지위를 박탈해 자본 이동과 비자 발급 등에 장벽이 생기는 등 불확실성이 장기화할 경우 홍콩을 대체할 후보지로 싱가포르가 꼽힌다. 이미 지난해 홍콩 시위가 격화하면서 대부분의 국내 금융사들은 홍콩에 쏠려있던 해외IB·트레이딩 업무의 무게중심을 조금씩 싱가포르로 분산해왔다.

시중은행의 한 고위관계자는 “국가보안법 이슈가 국제금융 환경에 당장 가시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면서도 “만약의 경우에는 싱가포르가 대체 기능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홍콩이 아시아 금융허브 위상을 잃더라도 외국환거래법을 비롯한 자본 이동 제한과 금융권에 대한 정부 규제가 촘촘한 우리나라가 그 역할을 대체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말했다.



정부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금융권에 따르면 중국이 홍콩 국가보안법 제정을 강행한 전날 기획재정부는 일부 시중은행에 미국 제재 수위에 따른 홍콩에서의 비즈니스 이전 가능성을 문의했다. 기재부는 최악의 경우 홍콩을 이탈할 글로벌 금융기관·자본을 한국에 유치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도 의견을 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이 홍콩의 특별무역지위를 철회할 경우 미국이 중국에 적용 중인 보복관세가 홍콩에도 적용돼 홍콩의 대미 수출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홍콩의 특별무역지위가 철회될 경우 기존 1.6%의 대미 관세가 최대 25%까지 확대 가능하다. 우리나라가 홍콩으로 수출하는 물량 중 미국으로 재수출되는 비중은 1.7%에 불과해 직접적 영향은 제한적일 전망이다.

이번 미중 갈등이 기회가 될 수 도 있다. 보고서는 중국이 홍콩을 경유한 대미 수출길이 막힐 경우 우리 기업의 대미 수출에 경쟁 우위 확보도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의 대중 제재 강화로 중국과 경쟁 중인 석유화학, 가전, 의료 및 정밀광학기기, 철강제품, 플라스틱 등에서 반사이익이 기대되기 때문이다. 스마트폰, 통신장비 시장 등 삼성전자가 강점이 있는 분야에서도 추가적인 점유율 확대가 예상된다.

/변수연·빈난새기자 diver@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