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철강·車·의류 등 전통 제조업체 줄줄이 이익 급감
한국거래소와 한국상장회사협의회가 19일 12월 결산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592개사의 연결재무제표를 분석한 결과 상장사들의 올해 상반기 순이익은 25조5,426억원으로 집계돼 국제회계기준(IFRS)이 의무 도입된 지난 2010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최근 10년 동안 가장 순이익이 많았던 2018년(65조7,127억원)과 비교하면 38.9% 수준이다. 영업이익도 42조6,534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24.2% 줄었다. 외형도 다시 악화됐다. 올해 상반기 매출은 943조2,240억원으로 지난해(1,001조1,166억원) 대비 5.78% 감소했다.
매출액보다 이익 감소 규모가 더 컸던 탓에 수익성 지표인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은 4.52%와 2.71%를 기록해 지난해 상반기보다 각각 1.1%포인트, 1.16%포인트 하락했다.
전체 매출의 11.48%를 차지하는 삼성전자를 제외하면 실적 부진은 더욱 두드러졌다. 삼성전자를 뺀 코스피 상장사의 영업이익(28조597억원)과 순이익(15조1,026억원)은 각각 35.4%, 47.1% 줄었고, 매출액(834조9,327억원)도 6.5% 감소했다. 코로나19의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주력인 수출기업들이 맥을 추지 못하면서 기업 실적 악화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생산비용 줄여 그나마 선방, 코로나·무역전쟁 등 악재 여전
업종별로는 코로나19의 반사이익을 받은 업종과 그렇지 못한 전통 산업 간 희비가 엇갈렸다. 음식료품(173.82%)과 의약품(122.09%)을 비롯해 종이·목재(57.86%), 의료정밀(28.63%), 통신(10.63%), 전기·전자(4.44%) 등 6개 업종은 흑자 폭이 늘었지만 화학(-97.03%), 섬유·의복(-88.86%), 운수장비(-70.98%), 철강금속(-65.15%), 서비스(-58.63%), 비금속광물(-51.51%), 유통(-30.40%), 건설(-10.33%) 등 8개 업종은 흑자폭이 줄었다. 상반기 흑자 기업은 421곳이었으며 적자 기업은 171곳이었다.
이는 코스닥시장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코스닥 기업이 유가증권시장 상장사보다 선방한 편이기는 했지만 이익 감소세는 피할 수 없었다. 거래소와 코스닥협회가 집계한 코스닥시장 12월 결산법인 952곳의 상반기 연결 영업이익(4조6,996억원)은 지난해 상반기 대비 9.11% 감소했다. 순이익도 2조5,782억원을 기록하면서 28.34% 줄었다. 코스닥시장의 주력인 정보기술(IT) 가운데서 소프트웨어 기업들의 영업이익은 25.02% 늘어난 반면 하드웨어 기업은 32.67% 감소했다. 비IT업종 가운데서는 농림업(22.27%), 유통(22.26%), 운송(18.64%), 건설(18.54%), 기타서비스(6.93%), 금융(0.56%)의 이익이 증가했다.
다만 2·4분기 실적이 직전 분기보다 나아진 것으로 나타나면서 실적 바닥에 대한 기대감도 커진 모습이다. 유가증권시장 상장사의 2·4분기 영업이익은 23조1,923억원으로 1·4분기 대비 19.17% 증가했고 순이익도 14조2,014억원으로 25.22% 늘었다. 코스닥 기업 역시 1·4분기 대비 영업이익은 76.8%, 순이익은 22.09% 확대됐다.
2·4분기 실적이 개선세를 보이면서 하반기 국내 기업들의 실적 개선에 대한 기대감도 나오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장밋빛 전망을 하는 데 조심스러운 모습이다. 코로나19의 재확산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미중갈등, 미국 대통령선거 등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는 만큼 언제든지 국내 기업의 실적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김형렬 교보증권 리서치센터장은 “2·4분기 기업들이 수익을 극대화해 선방을 했다기보다 생산비용을 절감한 노력이 더 컸던 것으로 보인다”며 “3·4분기부터 실적 개선을 예상하고 있지만 극적으로 이익이 증가하지는 못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영업익 컨센서스 하향 지속…3분기 실적도 기대치 낮아져
19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3개 이상 증권사의 실적 추정치가 있는 상장사 114개의 3·4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 합계는 22조6,964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3·4분기 영업이익 합계 19조7,079억원보다 15.1% 증가한 규모다. 그러나 올해 1월 초 29조4,021억원에서 3월 말 28조4,902억원, 6월 말 24조1,936억원으로 3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 합계의 하향 조정이 이어지는 추세다.
증권 업계에서는 미국·유럽 등 글로벌 경기회복이 지연되면서 하반기 실적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다는 진단이 나온다. 김민규 KB증권 연구원은 “2분기 상장사 실적 발표 후 오히려 3분기 실적 예상치가 소폭 감소했다”며 “2분기에 비해 하향폭은 크지 않지만 여전히 조심스러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코로나19 확진자 수 증가는 유통·의류 등 내수기업 실적에 악재로 작용할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윤지호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최근 코로나19 사태는 3·4분기 상장사 전반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으로 이어지고 다음주(27일) 발표될 예정인 한국은행의 경제성장률 전망에도 반영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코로나 재확산에 영화·레저·호텔업종 등 타격 이어질듯
반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4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 증가율이 가장 큰 상장사는 풍산이다. 풍산의 3·4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369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만8,131.7%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6월 말 기준 컨센서스 247억원보다도 대폭 증가했다. 미국에 대한 탄약 수출 등 방위사업 및 구리 가격 강세가 하반기 호실적 기대 요인으로 꼽힌다. /박성호·박경훈기자 junpark@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