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심박수 이상 등 ‘심장 손상’ 코로나19 입원환자, 사망률 27%

계명대 의대 김형섭 교수팀

심장건강 유지 환자의 4.3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입원 환자 10명 중 6명 가까이 심근장애, 심부전, 심박수 이상 같은 ‘심장 손상’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계명대 의대 심장내과 김형섭 교수팀이 올해 2월 19일~3월 15일까지 코로나19로 입원한 환자 38명을 분석한 결과다.

38명 중 22명(57.9%)은 한 가지 이상의 항목에서 비정상 수치를 보였다. 연구팀은 심근장애, 심부전, 심박수 이상 중 한 가지라도 나타날 경우 심장 손상으로 판단했다.

심장 손상 가능성은 고령층에서, 남성에서, 그리고 고혈압 이력이 있을수록 높았다. 또 심장 손상 환자 22명의 사망률은 27.3%(6명)로 심장 건강을 유지한 입원환자 16명의 6.3%(1명)의 4.3배였다.

연구팀은 코로나19 감염에 의한 심장 손상에는 여러 가지 기전(메커니즘)이 있다고 설명했다. 우선 체내 ‘앤지오텐신 전환효소 2’(ACE2) 단백질 매개 직접 손상이다. 코로나19 감염은 바이러스 수용체인 ACE2에 바이러스 돌기가 결합하면서 이뤄지는데 심장에서 과다발현된 ACE2가 주변 기관을 망가뜨린다는 것이다. 저산소증에 의한 심근 장애다. 산화 스트레스, 저산소증에 의한 미토콘드리아 손상 등도 심장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바이러스 감염에 따른 혈관 경련성 수축, 사이토카인 폭풍이 유발한 심근 손상 등도 원인으로 꼽혔다.

연구결과는 ‘대한의학회지’(JKMS)에 발표됐다.

심장 컴퓨터단층촬영(CT) 이미지는 심장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막히지 않고 정상(왼쪽)임을 보여주지만 좌심실(오른쪽 노란 화살표 부분) 등 심장의 크기는 심근 염증·부종으로 비대해져 있다. /사진=유럽심장학회지




코로나19, 급성 심근염 일으키면 심장기능 ‘뚝’

계명대 의대 김인철·한성욱 교수팀…21세 여성 사례 발표

국내에서도 젊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환자에서 심장근육에 염증(심근염)이 생겨 심장 기능이 크게 저하된 사례가 확인됐다.



김인철·한성욱 계명대 동산병원 심장내과 교수팀은 ‘유럽심장학회지’(European Heart Journal)에 코로나19로 급성 심근염 증상을 보인 21세 여성의 사례를 발표했다.

심근염의 주된 원인은 바이러스·세균 감염, 약물독성이나 환경독소, 면역학적 이상 등이며 급성 심근염이 심해지면 흉통·호흡곤란·심장비대·만성 심부전으로 악화할 수 있다. 다만 이 여성의 경우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심근세포의 앤지오텐신전환효소2(ACE2) 수용체를 통해 침투, 염증을 일으켜 심근을 직접적으로 손상시켰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이 환자는 코로나19 확진 당시 열·기침·가래·설사·호흡곤란 등 일반적 증상을 보였다. 기저질환(지병)은 없었다. 하지만 입원 후 시행한 검사에서 심장 박출률이 25%가량 떨어져 있었다. 또 심장근육의 이상 여부를 알 수 있는 심근효소인 트로포닌-아이(TnI) 혈중 수치가 1.26ng/㎖로 정상치(0.3ng/㎖ 미만)의 4.2배나 됐다. 통상적으로 트로포닌-I 수치는 조금만 높아져도 심장근육에 산소·영양분을 실은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막힌 심근경색이나 심근염 등으로 심장근육이 손상됐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심부전의 중증도와 관계가 있는 또 다른 심근효소(NT-proBNP)의 농도도 1,929pg/㎖(정상 125pg/㎖ 미만)의 15.4배나 됐다. 심전도 검사에서도 심장기능의 이상이 관찰됐다.

트로포닌은 골격계와 심근 섬유에서 발견되는 근수축 조절 단백질인데 이 중 트로포닌-아이와 T(TnT)는 심근에서만 발견되며 심근세포 손상이 심할수록 혈중 농도가 높아진다.

주치의인 김 교수는 일단 심근염을 의심했다. 흉부 컴퓨터단층촬영(CT)과 자기공명영상(MRI) 검사를 했더니 관상동맥이 막히지 않아 심근경색은 아니었다. 대신 폐와 심근의 여러 부위에 염증·부종이 있고 폐는 안개 낀듯 뿌옇게 보이는 등 바이러스성 폐렴 소견이 보였다.

환자는 1개월여의 입원치료 후 코로나19 음성(바이러스 유전자 미검출) 판정을 받아 퇴원했다. 하지만 지금도 심장기능이 완전히 회복되지 않아 주기적으로 치료를 받고 있다.

김 교수는 “이 환자의 경우 입원 후 심장 박출률이 25%가량 떨어져 심근염을 의심했고 CT·MRI 등 추가 검사를 통해 확진·치료했지만 이런 의심이 없었다면 심근염 치료가 늦어졌을 수 있다”며 “코로나19 환자를 진료할 때 심근염 발생 여부를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신형식 국립중앙의료원 감염병연구센터장은 “감염 후 심장 질환으로 악화하는 부작용 등을 예방하기 위해 ‘헤파린’을 사용하거나 선천 면역을 위해 결핵 백신인 ‘BCG’ 등을 접종하는 것도 해외에서 연구 중”이라고 말했다. /임웅재기자 jaelim@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