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리나라 주민등록인구가 2만여 명 감소하며 사상 처음으로 감소한 가운데 1인 세대 급증으로 세대수는 사상 최다를 기록했다.
"저출산 현상 훨씬 더 빠른 속도로 다가와"
주민등록인구는 최근 10년간 조금씩 늘었지만 증가율은 떨어졌다. 주민등록인구 증가율은 지난 2009년 0.47%에서 2010년 1.49%로 올랐다가 이후 줄곧 하락했다. 특히 2016년 이후 급격히 낮아져 2018년 0.09%, 2019년 0.05% 등으로 최저 기록을 갈아치우다 지난해 처음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지난해 출생자는 27만5,815명으로 전년도보다 10.65%(3만2,882명)나 줄었다. 연간 출생자 수는 지난 2017년 40만명 선이 무너진 뒤 3년 만에 30만명 선도 깨졌다.
이에 비해 작년 사망자 수는 전년 대비 3.10%(9,269명) 늘며 30만7,764명을 기록했다. 2011부터 8년 연속 증가하던 사망자 수는 2019년 감소세로 돌아섰다가 지난해 다시 늘었다.
행안부는 “출생자 수가 사망자 수보다 적은 ‘인구 데드크로스’가 지난해 주민등록인구 사상 첫 감소의 주요 원인”이라며 “저출산 현상이 훨씬 더 빠른 속도로 다가옴에 따라 정부 정책에 근본적 변화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나혼자 산다' 전성시대…고령화도 심화
전체 세대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인 세대가 39.2%로 가장 높았다. 1·2인 세대를 합친 비중은 전체 세대의 62.6%에 이른다. 이는 5년 사이 6.1%포인트 높아진 수치다. 이에 비해 4인 이상 세대 비율은 2016년 25.1%에서 지난해 20.0%로 떨어졌다. 행안부는 “전통적 가족 개념의 변화가 세대 변동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주거·복지·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국가 정책 방향이 수정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연령대별 인구는 50대가 864만5,014명(16.7%)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40대 16.0%, 30대 13.3%, 20대 13.1%, 60대 13.0%, 10대 9.2%, 10대 미만 7.7% 순이었다. 연령대별 비중은 2011년과 비교해 10대는 4.0%포인트, 30대는 3.0%포인트 감소했다. 반면 60대는 4.7%포인트, 70대 이상은 3.5%포인트 증가했다. 행안부는 “3040 세대와 10대 이하 인구가 급격히 감소한 데 비해 60대 이상은 전체 인구의 4분의 1로 증가했다는 점에서 향후 경제·고용정책의 시급한 변화와 노인대상 복지·일자리에 대한 고민이 본격적으로 요구된다”고 밝혔다.
17곳 시·도 중 5곳만 인구 늘어…수도권 집중 심화
서울과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인구는 2,603만8,307명으로 전체 인구의 50.2%로 집계됐다. 전년도(2,592만5,799명, 50.002%)보다 인구수와 비중이 모두 늘며 수도권 집중 현상이 심해졌다.
시·군·구 중에서는 경기 화성(3만9,852명 증가), 김포(3만6,749명), 시흥(2만7,213명) 등 60곳은 인구가 늘었고 경기 광명(1만7,953명 감소) 등 166곳은 감소했다. 행안부는 “지역별 인구 증감은 출생·사망 등 자연증감보다 전출입에 따른 사회적 증감이 크게 작용했다”며 “일자리 감소와 산업구조 변화에 따라 기존 대도시에서의 인구유출이 본격화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또한 교육·의료 등 정주 여건과 경제기반이 취약한 지역에서는 지방소멸 위기가 고조되고 있어 지역별 경제상황에 맞는 일자리 창출 시책 등 인구유출 방지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박동휘기자 slypdh@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