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한국형 뉴딜’의 핵심 사업인 철도망 확대를 통해 전국을 2시간대 생활권으로 연결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비수도권 광역자치단체들이 앞다퉈 광역철도 도입에 나서고 있다. 행정통합을 추진 중인 대구·경북과 동남권 메가시티 조성에 나선 부산·울산·경남이 광역철도를 통해 단일 생활권을 구축하겠다는 청사진을 내걸고 본격적인 사업에 착수했다.
7일 대구시와 경북도에 따르면 경북 구미·칠곡~대구~경북 경산을 잇는 ’대구권 광역철도‘가 오는 2023년 개통을 목표로 올해부터 사업이 본격화된다. 대구권 광역철도는 비수도권 최초의 광역철도 사업이다. 총 연장 61.8㎞ 구간에 정거장(역) 7개소를 설치 또는 개량한다.
역사는 구미·사곡·왜관·서대구·대구·동대구·경산에 각각 들어서며 하루 편도 61회 운행할 계획이다. 총 사업비는 1,515억원으로 기존 운영 중인 일반철도 선로를 개량해 전동차를 투입해 사업비를 크게 줄인 것이 특징이다. 사업이 완료되면 대구·경북 권역은 40분대 생활권으로 좁혀진다.
최근에는 국토교통부를 비롯해 대구시·경북도·한국철도공사·국가철도공단이 대구권 광역철도 사업의 원활한 건설·운영을 위한 협약을 체결하면서 사업에 속도가 붙고 있다. 협약에 따라 공단이 광역철도를 건설한 뒤 지자체는 차량 소유 및 운영 손실금을 부담하고 공사는 열차 운행과 관련한 업무를 전담한다.
대구권 광역철도는 올해 한국철도공사와 함께 전동차 제작에 들어가 2023년 상반기 준공할 계획이다. 이어 종합 시운전과 안전성 평가 등을 마친 뒤 2023년 말 개통을 목표로 세웠다. 대구권 광역철도가 개통되면 올 6월 준공을 앞둔 서대구역은 KTX 경부선과 대구산업선이 정차하는 대구·경북의 핵심 교통거점으로 재탄생할 전망이다.
윤정희 대구시 교통국장은 “대구권 광역철도가 개통되면 대구·경북이 실질적인 단일 생활권을 형성하게 된다”며 “공론화 절차를 밟고 있는 대구·경북 행정통합에 걸맞은 교통 인프라 구축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부산·울산·경남도 메가시티 구축을 위해서는 동남권 전 지역을 1시간 생활권으로 묶는 광역대중교통망 구축이 전제돼야 한다고 공감대를 형성하고 광역철도망 구축에 팔을 걷어붙였다. 2030년 완공을 목표로 계획 중인 동남권 광역순환철도는 김해 진영~경부선 양산 물금~북정~울산 신복~동해선 태화강~부산 부전~김해 장유~진영을 잇는 총 연장 186㎞ 규모다. 총 사업비 2조2,880억원이 투입될 전망이다.
이 중 신설 구간은 김해 진영~경부선 양산 물금역~양산 상·하북~KTX 울산역~신복교차로~태화강역까지다. 다른 구간은 기존 동해남부선 노선이거나 내년 2월 준공을 목표로 공사가 진행 중이다. 부산·울산·경남은 광역철도 구축과 함께 동남권 환승 시스템 및 통합 환승할인제 등도 도입할 예정이다.
김경수 경남도지사는 “수도권 집중 문제 해결과 대한민국의 새로운 경제성장 동력 창출을 위해서는 또 하나의 수도권인 동남권 메가시티를 구축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광역철도 건설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충청권 광역철도 건설도 속도를 내고 있다. 앞서 지난해 12월 대전·세종·충북·충남 4개 시·도는 ‘충청권 철도망 구축을 위한 공동건의문’에 서명하며 사업 추진을 공식화했다. 4개 시·도의 인구만 550만명에 달하는 만큼 광역철도 구축을 통한 교통 인프라 확충이 필수적이라는 판단에서다.
국토부 관계자는 “대구·경북이 적극적으로 추진 중인 대구권 광역철도는 일반철도를 개량해 전동열차를 운영하는 고효율 사업”이라며 “앞으로도 수요가 있고 지자체의 적극적인 참여가 있을 경우 재정 협의 등을 거쳐 광역철도 사업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대구=손성락·창원=황상욱기자 ssr@sedaily.com 전국종합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