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환대출 플랫폼 출시를 앞두고 은행권과 빅테크 간 의견이 첨예하게 맞서고 있다. 핀테크 입장에서는 새로운 수익 창출의 기회로 삼으려 했으나 은행권이 공동 대응에 나서며 정면충돌 양상을 보인다. 금융 당국이 중재자 역할을 자처하고 나섰지만 양측의 주장이 대립하고 있어 서비스 지연 우려까지 나오는 상황이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6일 시중은행 관계자를 모아 대환대출 인프라 구축을 주제로 간담회를 진행하기로 했다. 최근 은행권은 은행연합회를 통해 금융위에 은행들이 공동으로 연합해 별도의 대환대출 플랫폼을 만드는 건에 대해 검토해줄 것을 요구했다. 금융위는 이와 관련, 은행들로부터 직접 의견을 청취할 계획이다. 금융위는 2금융권, 핀테크 업체, 금융결제원 등을 대상으로도 연이어 간담회를 진행할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위가 대환대출 인프라 구축에 관련된 기관들의 입장을 충분히 수렴하기 위한 절차를 진행하기로 하면서 일부에서는 오는 10월로 예정된 서비스 개시 시기가 지연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금융위는 올해 초 업무 계획에서 은행을 방문할 필요 없이 바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에서 모든 금융사의 대출 상품 금리를 비교해 기존 대출을 해지하고 새로운 대출을 신청할 수 있게 하는 ‘원스톱·비대면 대환대출 인프라’를 구축하겠다고 발표했다. 금결원에서 만든 인프라와 핀테크 플랫폼을 연결해 대환대출이 이뤄지는 방식이다. 지금까지 개인이 기존 대출을 더 좋은 조건으로 변경하려면 직접 금융사의 금리를 비교하고 복잡한 서류 작업도 거쳐야 했다. 앞으로 대환대출 플랫폼이 갖춰지면 손쉽게 좋은 조건의 금융사로 대출을 갈아탈 수 있게 돼 개인 대출 시장의 일대 변화가 예고되고 있다.
금융권마다 우려와 기대가 상존하며 자신들에게 보다 유리한 조건을 갖추기 위해 목소리를 높이는 중이다. 은행권은 편의성을 바탕으로 플랫폼 부문에서 경쟁력을 지닌 핀테크·빅테크 업체를 경계하고 있다. 수수료 부문에서 은행권은 핀테크 업체들에 제공하는 중개 수수료가 과도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한다. 대출 상품은 자신들이 제공하는 만큼 적정 수수료를 받아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핀테크 업체들은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은행권이 받는 중도 상환 수수료를 낮춰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서비스 가능 시간도 쟁점이다. 핀테크에서는 소비자 편의를 내세우며 플랫폼 운영이 24시간 가능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은행권은 보안 문제 등을 이유로 은행 영업점 운영 시간(오전 9시~오후 4시)에만 서비스를 하자고 주장하고 있다. 은행권 관계자는 “편의성만을 강조할 경우 현재 기울어진 운동장이 더욱 심화되고 이는 기존 금융권에 다시 부담으로 돌아올 수 있다”며 “금융 당국이 양측의 의견을 잘 수렴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