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느린 테이퍼링 시간표와 잭슨 홀 연설에 대한 정치적 해석 [김영필의 3분 월스트리트]





30일(현지 시간) 미국 뉴욕증시의 주요 지수는 기술주가 강세를 보이면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과 나스닥이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웠습니다. 10년 만기 국채금리는 연 1.277%대로 떨어졌는데요.

전반적으로 테이퍼링은 올해 안에 시작하더라도 기준금리 인상은 멀었다는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잭슨 홀 연설의 여파가 남아 있었습니다.

일반적으로 특정 이벤트가 있은 뒤 하루이틀 정도가 지나면 해당 사건에 대한 시장의 생각이 더 분명해지는데요. 오늘은 테이퍼링에 대해 추가로 나온 논의와 파월 의장의 잭슨 홀 연설에 대한 정치적 해석을 알아보겠습니다.

테이퍼링 발표, “명확히 9월은 아냐” vs “강한 고용 나오면 9월”


우선 잭슨 홀 연설에 대한 분석은 한국시간으로 지난 토요일(28일) 오전에 나온 ‘잭슨 홀 분석···①올해 테이퍼링 시작 ②인플레 대응 안 서둘러 [김영필의 3분 월스트리트]’를 보시면 되는데요.

이날 파월 의장의 잭슨 홀 연설에 관한 시장 분석은 증시에 우호적이라는 판단이 이어지는 가운데 1차적으로는 9월 발표가 어려운 것 아니냐는 게 주였습니다. 모하메드 엘 에리언 알리안츠 선임고문은 미 경제 방송 CNBC에 “파월 의장은 시장 전망을 매우 비둘기파적으로 포장해 제시했고 시장은 이를 바로 알아챘다. 시장은 느린 테이퍼링 시간표가 될 것이라고 결론내렸다”며 “앞으로 오직 3번의 FOMC가 있다. 명확히 9월은 아니고 11월은 까다로울 수 있고 아마도 12월이 아닐까한다. 테이퍼링은 당분간 없다는 얘기고 시장은 그것을 좋아한다”고 분석했는데요.

에리언 고문의 판단은 11월 발표(12월 시행)라는 일반적인 의견과는 다르지만 9월을 배제한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다만, 9월을 지나 11월에도 발표하지 않으면 그냥 바로 12월이 되버리는 결과가 나옵니다. 연준 입장에서는 밑천이 드러나는 셈인데요. 12월 FOMC 후에는 시장이 준비하기에 시간이 빠듯할 수도 있다는 얘기도 있습니다.

모하메드 엘 에리언 알리안츠 선임고문. /2020 밀켄컨퍼런스 화면캡처


패트릭 팰프레이 크레디트 스위스 시니어 주식 전략가도 “사람들의 기대보다 테이퍼링 과정이 더 공격적이 될까 우려가 컸는데 이번 잭슨 홀 연설은 (시장에) 신나는 일로 본다”며 “파월 의장의 말에 따르면 테이퍼링은 올해 일어날 것이며 그것은 아마도 9월보다는 연말 쪽에 가까울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물론, 9월 발표 가능성이 사라진 건 아닙니다. 캐시 존스 슈왑 금융연구센터 채권 전략가는 “아마도 1년 동안 매우 완화적인 통화정책이 유지될 것이며 이는 주식 같은 위험자산에 좋다”며 “테이퍼링의 경우 9월3일에 나올 8월 고용보고서가 강세이면 9월 FOMC에서 발표할 수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아이런사이즈 매크로이코노믹스의 배리 냅도 “나는 연준이 강한 8월 고용보고서가 나온 후에 9월 FOMC에서 발표할 것 같다. 느리게보다는 빠를 것”이라고 점쳤습니다.

정리하면 8월 고용보고서가 나오면 9월이냐 11월이냐 그것도 아니면 12월이냐 같은 테이퍼링 발표시점을 둘러싼 예측이 쏟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앞서 설명드렸지만 11월이 아니면 자연스레 12월이 됩니다.

파월 의장 ‘올해(this year)’ 발언 그냥 하는 말 아냐


파월 의장 연설과 관련해 하나 더 분명히 말씀드릴 건 테이퍼링 시기와 관련해 “정해진 게 아무 것도 없다”는 식의 해석은 옳지 않다는 것입니다. 일부 SNS에서 이런 얘기를 볼 수 있는데요.

먼저 해당 문장을 보죠. 파월 의장은 잭슨 홀 미팅에서 “만약 경제가 예상대로 전반적으로 좋아지면 올해 자산매입 속도를 줄이기 시작하는 게 적절할 수 있다(if the economy evolved broadly as anticipated, it could be appropriate to start reducing the pace of asset purchases this year)”고 했습니다.

명확히 ‘올해(this year)’가 있습니다. ‘could’는 할 수 있다는 뜻이고 앞에 경제가 계속 좋아진다는 전제가 달렸지만 이는 만에 하나를 대비하기 위해 덧붙여 놓은 말들입니다. CNBC는 “파월 의장이 7월 FOMC 의사록에서 올해 테이퍼링을 시작하기를 원하는 사람들 가운데 한명이 자신이라고 밝힌 것은 처음”이라고 했지요.

중앙은행 총재, 그것도 연준 의장의 말은 무겁습니다. 언론이나 애널리스트가 이렇게 얘기했다면 올해도 가능하고 내년도 가능하며 정해진 게 없다고 볼 수도 있지만 연준 의장이 특정 시기를 언급한 것은 의미가 다릅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 중앙은행 총재, 그중에서도 연준 의장의 발언은 그 하나하나가 영향력이 막대하기 때문에 매우 신중하게 사용한다. 파월 의장의 발언을 해석할 때는 이같은 배경지식이 중요하다. /AP연합뉴스




이는 책임 문제 때문입니다. 언론과 전문가들의 분석도 자기 이름을 걸고 분명한 책임감을 갖고 하지만 어디까지나 참고용입니다. 하지만 정책당국자의 발언은 주워담을 수 없습니다. 이를 바꿀 때는 상당한 정치적 부담이 따릅니다.

특히 중앙은행 총재는 아니면 말고 식으로 말바꾸기를 할 수 있는 자리가 아닙니다. 통화당국의 신뢰가 깨지면 시장이 무너집니다. 예를 들어 국민들이 통화당국의 말을 믿지 못해 인플레이션 기대가 치솟으면 하이퍼 인플레이션이 올 수 있습니다. 돈과 관련돼 있기에 더 신중할 수밖에 없습니다.

파월 의장만 해도 통화정책 전환에 대한 시점을 묻는 질문에 “우리는 결과를 보고 하지 특정 타임 테이블에 따라 하지 않는다”고 수차례 얘기한 바 있습니다. 그런데 그가 시기에 관한 얘기를 꺼냈다는 건 이를 매우 진지하게 보고 있다는 뜻입니다.

같은 말이라도 누가 하느냐가 중요합니다. 월가 전문가들이 ‘could’의 뜻을 몰라서 9월이나 11월(혹은 12월) FOMC 발표 가능성을 제기하는 게 아닙니다.

중앙은행의 특성을 고려하면 왜 파월 의장의 발언이 사실상 올해 테이퍼링 개시라고 해석해야 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특별한 일(델타변이의 급확산 등)이 없다면 올해 한다고 봐야 하는 것이죠. 반대로 해를 넘기는 경우가 생긴다면 매우 자세한 해명이 필요할 겁니다. 월가의 사정에 정통한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연준 총재의 발언은 무게감이 크다”고 했습니다.

100%는 아니지만 지금 시점에서는 연내 테이퍼링을 준비하는 게 맞습니다. 금리인상은 멀지만 테이퍼링은 분명 다가오는 이슈입니다.

WSJ, “파월, 백악관이 듣고 싶은 말만 해…재임명 뒤에나 인플레 일시적인지 알 수 있어”


이번에는 파월 의장의 잭슨 홀 연설에 관한 정치적 해석을 알아보겠습니다. 이날 월가에서는 잭슨 홀 연설을 다룬 월스트리트저널(WSJ) 사설이 이슈였는데요.

WSJ는 “파월 의장은 백악관이 듣고 싶어하는 모든 것을 말하고 있다”며 “올해 명목 국내총생산(GDP)가 10% 성장할 수 있음에도 극도로 완화적인 정책을 유지한다는 게 메시지인데 시장은 이를 좋아해 주식을 매수했다”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당신은 그가 공직에 출마할 것이라고 생각할지 모른다”며 “아, 잠깐 그는 의장으로서 두 번째 4년 임기를 희망하고 있고 바이든 대통령은 곧 결정을 내릴 것”이라고 비아냥거렸는데요. 그러면서 “연준 의장은 1류 정치인” “파월 의장에게 좋은 소식은 백악관이 재임명 결정을 내리기 전에는 인플레가 일시적인지 알 수 없다는 점”이라고도 했습니다.

정리하면, 파월 의장이 연임을 위해 백악관의 눈치를 보고 있으며 경제상황이나 인플레이션 우려와 관계없이 무리하게 완화적 통화정책을 펴고 있다는 얘기입니다. 인신공격에 가까운 내용이 많은데요.

투자자 입장에서는 파월 의장이 정치적이냐 아니냐를 떠나 연준을 오롯이 이해하기 위해서는 정치적 요소를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점이 중요합니다. 경제지표를 바탕으로 물가관리와 완전고용이라는 목표를 위해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게 연준이지만 연준 의장을 임명하는 것은 결국 대통령입니다. 추가로 WSJ 사설은 파월 의장의 신분이 보장(연임)되면 그때가서 연준이 인플레이션 대응 문제를 본격적으로 들고 나오지 않겠느냐는 뉘앙스를 풍깁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바이든 대통령은 아프가니스탄 철수와 인플레이션 문제로 안팎으로 어려운 입장이다. 연준은 독립적으로 운영되지만 의장을 포함한 지도부는 백악관이 임명한다. 연준 내에서도 지역 연은 총재와 지도부, 연준 의장의 입장과 처신은 다를 수밖에 없다. 특히 연준 의장은 정무적 판단을 포함해 여러 사안을 두루 살펴야 한다. /AP연합뉴스


여기에는 동의하지 않지만 어쨌든 인플레 문제를 제기하는 전문가들이 끊이지 않는다는 게 중요합니다. 전 리치몬드 연방준비은행 총재인 제프리 랙커는 “나는 연준이 어려운 위치에 있다고 보며 사람들 사이에 인플레 기대가 높아지는 게 진정한 핵심 리스크”라고 했습니다.

그는 지금의 상황을 무릎 괴저(신체조직이 죽는 것)에 빗대 설명했는데요. “당신 무릎에 괴저가 있는데 의사는 괜찮다. 우리는 대응도구가 있다고 한다. 그것은 커다란 톱을 포함한 절단술”이라고 했습니다.

그는 1980년대 물가가 안정화하는 과정이 매우 고통스러웠다고 합니다. 뒤늦은 금리인상은 그 폭이 클 수밖에 없고 엄청난 고통이 뒤따를 것이라는 얘기죠. 션 다비 제프리스 최고 글로벌 주식 전략가는 “2023년 어느 때쯤 연준이 금리를 올릴 건데 금리를 올리면 2000년이나 2007~2008년 때 테크버블과 주택버블이 터진 것 같은 버블붕괴가 올 수 있다. 그것이 진정한 문제”라고 했습니다. 아직 투자를 위한 시간이 꽤 남아있지만 동시에 금리인상에 대한 큰 그림을 함께 봐야 할 것 같습니다.

#기자페이지를 구독하시면 미국 경제와 월가의 뉴스를 쉽게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