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건설사 노동조합들이 연이어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과의 ‘관계 정리’에 나섰다. 같은 민주노총 소속이어도 내부 알력 관계에 따라 정책이 달라지다 보니 정책 방향에 대한 부정적 반응들이 쏟아진 탓이다.
29일 건설 업계에 따르면 GS건설과 쌍용건설 노조는 지난달 각각 민주노총 산하 건설기업노조를 탈퇴했다. 지난 2012년 6월 건설기업노조 창립 멤버이기도 했던 두 기업이 9년 만에 결별하게 된 것이다. 이에 따라 시공 능력 평가액 기준 10대 건설사 가운데 3곳만 민주노총에 남게 됐다.
민주노총 건설산업연맹 아래에는 현장직 중심인 건설노조·플랜트노조, 건설사 사무직 중심인 건설기업노조가 있다. 현장직과 사무직 중심의 근로자가 모인 노조의 상황이 서로 다르다 보니 건설 관련 정책, 법안 대응 등을 놓고 입장 차가 있어 내부에서 불만이 제기돼왔다.
이번 두 기업 노조의 탈퇴도 이 같은 ‘정책 방향성’에 대한 이견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노조원 수가 훨씬 많은 건설노조 및 플랜트노조의 주장대로 주요 정책 방향이 결정돼왔고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수가 적은 건설기업노조의 목소리가 반영되지 않는다는 불만이 내부에서 터져나온 것이다. 업계에 따르면 노조원 수는 건설노조 약 7만 명, 플랜트노조 약 2만 명이다. 건설기업노조는 6,000여 명 수준으로 건설노조의 10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건설기업노조 관계자는 “숫자가 적다 보니 정책 과정에서 목소리를 내기 어렵다”고 했다.
특히 최근에는 건설 업계의 주요 정책 이슈인 중대재해처벌법 제정과 관련해 두 집단 간 입장 차이가 컸던 것이 탈퇴의 이유 중 하나로 작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 모두 중대재해처벌법 제정에는 찬성하지만 GS건설·쌍용건설 노조가 ‘사전예방’에 초점을 둔 반면 건설노조 측은 경영 책임자 처벌에 중점을 두면서 갈등을 빚었다는 것이다.
여기에 강성 노조 활동 자체에 대한 젊은 층의 거부감이 커지면서 두 기업 내 2030세대 노조원들이 민주노총을 탈퇴하자고 목소리를 높여온 것으로 알려졌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