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로아스, ‘AI기반 물류자동화 종합 솔루션’으로 로봇의 진정한 가치를 증명하다





지난 로보월드 박람회에서 다양한 로봇들이 선을 보였다. 특히 ㈜로아스에서 선보인 물류 로봇 솔루션이 많은 주목을 받았다. ㈜로아스(대표 주용)는 로봇의 기술적인 서비스를 연구/개발하고 플랫폼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산업용 로봇 솔루션 및 ROS기반 연구개발용 로봇 솔루션 및 서비스/물류용 로봇 솔루션을 산업 전반에 제공하고 있다. AUBO Robotics의 협동로봇과 Fetch Robotics의 모바일 로봇, 그리고 Mech-Mind 3D비전을 기반으로 다양한 물류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했으며, 최근에는 Guozi Robotics의 AGV(무인운반로봇)까지 제품 라인업을 확대했다. 현재 3D Vision과 AGV/AMR 기반의 산업용 로봇 솔루션을 개발하여 물류자동화 분야 및 Smart Factory 등에 맞춤형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다.

이곳의 가장 큰 경쟁력은 차별화된 기술을 활용하여 고객사의 사업 내용과 업무성격에 가장 활용도 높은 자동화 로봇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특히 자체 개발한 모바일 플랫폼에 글로벌 소싱한 기술을 융합해서 다양한 산업군에서 최고의 활용도를 가진 여러 가지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주용 대표는 “당사의 플랫폼은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쉽게 확장할 수 있으며, 레이더 센서와 3D비젼 등을 통합하여 인공지능 기반의 물체인식이 가능하다. 또한 로봇팔과 통합하여 물류현장에서 다양한 작업이 가능하다. 자율주행 기능을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 및 산업현장에서 최고의 모빌리티 작업이 가능하다”고 언급했다.

현재 ㈜로아스의 사업내용은 크게 3가지 키워드로 나눌 수 있다. 로봇과 모빌리티, 그리고 물류다. 직접 개발한 모빌리티와 기존에 나와 있는 최적의 모빌리티를 사용하여 산업 현장에 가장 적합한 자동화 로봇 솔루션을 제공하는데, 특히 물류산업 쪽으로 특화되어 있다. 현장에 가장 적합한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개발하여 제공하는데, 로봇 등의 자동화 솔루션을 단순하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검토과정을 갖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최고의 자동화 로봇을 맞춤형으로 개발하여 제공한다. 수많은 테스트와 평가를 통해 현장에서 가장 활용도가 높은 플랫폼을 만들어가는 것이다. 자체적으로 개발한 모빌리티 기술과 세계에서 개발된 모든 로봇을 탐색하여 최적의 제품을 찾아서 최고의 하드웨어를 확보한 후 직접 개발한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여 최적의 자동화 플랫폼을 제공한다.

㈜로아스에서는 물류산업에 가장 특화된 인공지능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모바일부터 피킹까지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업체는 국내에서 ㈜로아스가 유일하다. 모빌리티 로봇은 유연성이 매우 좋다. 현장의 변화에 따라서 소프트웨어를 변경하거나 간단한 설정을 조작하여 로봇의 노선을 바꿀 수 있다. 기존 컨베이어벨트와 역할은 비슷하지만 로봇기반의 모빌리티가 ROI(Return on investment)가 훨씬 높고, 기업의 사업방향과 사업방향을 바꾸기도 좋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볼 때에도 훨씬 유리하다. ㈜로아스의 모빌리티 플랫폼에서.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자체적으로 개발한 3D비전 기술을 탑재했다는 것이다. 3D비전은 일반 카메라와 달리 주변의 사물을 입체적으로 스캔할 수 있어 마치 사람의 눈과 같은 역할을 한다. 모션플래닝과 충돌체크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높은 안정성을 가지고 있는 이곳의 3D비전으로 주변에 위치한 사물의 특징을 인지하고, 슬램기술을 통해 로봇 스스로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목적지까지 정확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슬램기술은 기존에 바닥에 그려진 QR코드를 읽으며 이동하는 모빌리티보다 훨씬 진보된 기술로 자율주행 자동차에서도 적용하고 있는 기술이다. 물류현장에서 3D비전으로 확보한 정보는 알고리즘을 통해 제품의 크기와 모양, 색상과 무늬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제품을 정확하게 피킹할 수 있다. 이러한 인공지능 기술은 딥러닝을 통해 정확도가 계속해서 높아진다. 그밖에도 인공지능을 통해서 20대가 넘는 많은 로봇의 이동 노선을 시간별로 조절할 수 있는 제어기술도 확보했다.



㈜로아스에서는 위에 설명한 것처럼 우수한 AGV(Auto Guide Vehicle)/AMR(Autonomous Mobile Vehicle) 기술을 확보함과 동시에, 로봇 메니퓰레이터(manipulator) 등의 제반기술과 제품을 보유하고 있어서, 팔레타이징(Palletizing)과 디팔레타이징(Depalletizing) 애플리케이션부터 피스피킹(Piece Picking), 오더피킹(Order Picking) 등 고난이도의 물류 자동화 시스템까지 구축할 수 있다. 팔레타이징 기술은 기존에 수작업으로 진행되던 팔레트(화물 운반대) 위 박스 적재 업무를 로봇이 대신하여 작업하는 기술이다. 현장에서 반복적이고, 단순한 업무를 로봇이 대신해 주어 인건비 절약과 안전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디팔레타이징은 팔레트에 적재된 물건을 다른 장소로 옮기는 로봇기술을 말한다. 피스피킹과 오더피킹은 비슷한 개념으로 박스에서 낱개 단위의 제품을 피킹할 수 있는 프로세스다.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다보니 물류기업에 서비스를 제공하기에 앞서서 철저하게 데이터를 분석한다. 현장의 업무내용과 특성에 맞춰서 로봇의 종류와 기능, 로봇의 대수까지 철저하게 분석한 후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게 된다. 솔루션을 설치한 후에는 현장에서 플랫폼을 운영할 담당자 교육을 진행하고, 향후에 발생하는 모든 문제에 대한 AS도 직접 제공한다.

㈜로아스는 올해 3월 국내에서 유일하게 공식 파트너사로 보스턴다이내믹스와 계약을 마쳤으며, 그동안 렌트 형식으로 공급해오던 보스턴다이내믹스의 스팟(Spot, 4족 보행로봇) 제품의 정식 판매를 시작했다. 지난 10월에는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로보월드’에 참여, 자체 부스에서 스팟을 선보이며 관계자들에게 큰 주목을 받았다. ㈜로아스는 앞으로 보스턴다이내믹스의 로봇에 자체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하여 다양한 산업현장에 맞춤형 플랫폼을 공급할 예정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