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현직기자 10명 중 8명 심리적 트라우마 겪었다"

한국기자협회·여성기자협회 첫 조사

여기자·사회부 비중 높아

예방교육은 거의 못 받아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이미지투데이




현직 기자 10명 중 8명은 근무 중 심리적 트라우마를 느낀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자들은 취재 과정뿐 아니라 보도 이후 댓글·이메일 등 뉴스 소비자의 반응, 조직 내부의 갈등으로도 트라우마를 경험했다.

반면 심리적 트라우마를 느끼는 빈도가 높은 실태와 달리 취재 전 트라우마에 대한 사전 교육은 물론 상담 등 후속 지원도 거의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6일 한국기자협회와 한국여성기자협회가 낸 현직 기자들의 트라우마 경험 관련 조사 결과에 따르면 조사에 참여한 현직 기자 544명 중 428명(78.7%)은 '기자로 근무하는 동안 심리적 트라우마를 느낀 적이 있느냐'는 질의에 '있다'고 답했다. '가끔 있음'이 280명(51.5%)으로 가장 많았다. '자주 있음' 105명(19.3%), '매우 빈번함' 43명(7.9%), '전혀 또는 거의 없음' 116명(21.3%)이었다.

응답자를 성별로 살펴보면 남성 기자 336명 중 260명(77.3%)이 트라우마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여성 기자의 경우 208명 중 168명(80.7%)이 있다고 답해 남성보다 여성 기자의 트라우마 경험 비율이 높았다.

트라우마 경험 당시 부서로는 사건팀과 법조, 정부 부처를 포함하는 사회부가 206명(48.1%)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지방자치단체(지역) 44명(10.3%), 경제·산업·금융 등 경제부(9.3%), 청와대·정당·외교 및 안보 등 정치부 26명(6.1%), 탐사보도 기획취재 25명(5.8%) 순이었다.

트라우마를 경험한 응답자들에게 트라우마를 겪게 하는 사건이 얼마나 자주 있는지 물어본 결과 '1년에 2∼3회 정도'가 59.3%, '월 2∼3회 느낀다'가 26.9%, '주 2∼3회 정도'가 9.6%였다.

트라우마 지속 기간으로는 '1∼30일 이내'가 46.9%, '한 달 이상'이 43.9%로 높은 비중을 보였다. 통상 트라우마 지속 기간이 한 달을 넘을 경우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로 진단받는 점을 고려하면 의학적으로도 경고등이 켜진 이들이 적지 않다는 지적이 있다고 기자협회 측은 전했다.



트라우마를 어떤 상황에서 느끼는지에 대한 질의에 '취재 과정'이라고 응답한 이들이 61%로 가장 많았다. '보도 이후 독자들의 반응' 58.4%, '내근 데스크나 조직 내부에서 겪는 갈등' 47.9%, '취재나 보도 전후 취재원과 관계' 43.7% 등이었다.

자연재난과 대형화재,성폭력 사건, 자살, 아동학대, 희생자 또는 가족, 정치인, 연예인, 온라인 커뮤니티 등 기자들이 취재 현장에서 접하는 사건·사고나 상황, 인물 등 15개 항목에 대해 트라우마 정도를 0∼4점(전혀없음∼매우 많음)으로 매겨 평균 점수를 낸 결과 '희생자 가족 및 관련 단체 취재'가 2.80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아동학대(2.63), 자살사건(2.52), 대형화재 및 폭발·침몰사고(2.43), 성범죄(2.38) 등의 순이었다. 성범죄 취재 중 트라우마를 겪었다고 답한 344명을 분석한 결과 트라우마를 '자주 또는 매우 많이 겪었다' 비율이 43.3%였다.

기자들은 업무 현장에서 일상적인 트라우마에 시달리고 있으나 예방교육은 거의 받지 못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취재나 보도를 하기 전 트라우마 예방교육을 받았느냐는 질의에 81.8%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이번 조사는 두 기자협회가 지난해 11월 8∼18일 구글 뉴스 이니셔티브와 미국 컬럼비아대 부설 저널리즘 및 트라우마 관련 비영리기관 '다트센터' 아시아 태평양지부 후원을 받아 여론조사 기관 마크로밀엠브레인에 의뢰해 실시했다.

한국기자협회와 여성기자협회는 트라우마와 관련해 현직 기자를 상대로 실시한 이번 첫 공식 조사를 시작으로 취재 중 트라우마 사례 및 대응방안 등을 정리해 가이드라인을 제정할 방침이다. 또 관련 교육프로그램과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는 별도 기구 구성 등도 검토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오는 11일 두 기자협회 등 관련 단체장들이 한자리에 모여 후속 대책을 논의하기 위한 간담회를 열기로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