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서방의 제재가 이어지자 러시아가 그 대응책으로 국제우주정거장(ISS) 사업에서 탈퇴하기로 했다. 이번 러시아의 결정으로 ISS 운영에 차질이 불가피하다는 우려가 나온다.
2일(현지시간) 러시아 관영 통신사 타스와 리아 노보스티 등 외신에 따르면 러시아 연방우주공사(로스코스모스) 사장 드미트리 로고진은 이들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이미 결정이 내려졌기 때문에 공개적으로 이야기할 필요는 없다"고 말하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이것만은 말할 수 있다. ISS에 대한 협력을 끝낼 경우 의무 사항에 따라 협력 국가에 1년 전에 이를 알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로고진 사장은 러시아의 침공 직후인 2월 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주요 러시아 은행을 제재하고 하이테크 제품의 러시아 수출을 통제하는 등 제재 방안을 발표한 뒤 ISS 사업에서 철수하겠다고 경고한 바 있다. 당시 그는 트위터를 통해 "우리와의 협력을 막는다면, ISS가 통제를 잃고 궤도를 이탈해 미국이나 유럽으로 추락하는 것을 누가 막을 수 있나"라고 지적했다.
지난 3월 미국 항공우주국(NASA) 빌 넬슨 국장은 러시아가 여전히 ISS 사업에 전념하고 있다고 전하기도 했다. 넬슨 국장은 "그게 바로 드미트리 로고진이다. 그는 때때로 거침없이 말한다. 그러나 결국에는 우리와 협력했다"고 말했다.
그간 2월 24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미국과 유럽연합(EU) 등이 전방위적인 제재에 착수한 이후 러시아의 반발로 ISS 운영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끊이지 않았다. ISS는 미국과 러시아 등이 함께 만들어 운영해 왔기에 러시아가 협력을 중단해버리면 운영에 큰 차질을 빚을 수 있기 때문이다.
러시아는 우주 화물선 '프로그레스'의 엔진을 주기적으로 분사해 ISS의 고도를 상공 400㎞ 안팎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맡는다. 미국은 ISS의 전력공급과 생명유지장치 운영을 전담하기 때문에 어느 한쪽이 없으면 운영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러시아는 ISS의 노후화를 이유로 정거장 운용 계약이 종료되는 2024년 이 사업에서 손을 떼겠다고 공언해 왔으며, 2030년 독자 우주정거장을 건설하겠다는 계획이다. 최근에는 중국과 유인우주선 운용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발표하면서 양국이 함께 우주정거장 프로젝트를 추진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