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23년 후엔 로봇·인간 대립…공생 고민해야"

'미래 본격 대비 강조' 박영숙 유엔미래포럼 대표

2045년엔 AI 지능이 인간 넘을 듯

로봇이 벌어들이는 수입 일부를

인간 발전위해 쓰는 법 고안 필요

민간에 로봇·환경세 부과 방안도

박영숙 유엔미래포럼 대표가 20개 국어로 간단한 질문을 주고받을 수 있는 소형 ‘아인슈타인 교수 로봇’과 대화하고 있다.




“대다수 미래 학자들은 2045년이 되면 인공지능(AI)이 인간 지능을 넘어서는 ‘싱귤래리티(singularity·특이점)’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현재 일자리의 상당 부분도 로봇이 차지하게 되겠죠. 미래에 맞닥뜨릴지 모를 혼란을 막으려면 로봇으로 벌어들이는 수입 중 일부를 인간을 위해 쓰는 방안에 대한 고민이 필요합니다.”

미래 학자인 박영숙(67) 유엔미래포럼 대표는 25일 서울 정릉 사무실에서 가진 서울경제와의 인터뷰에서 “미래에는 ‘로봇 앵벌이’ 시대가 올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박 대표는 29년간 영국·호주 대사관 홍보실장·수석보좌관을 지냈고 현재는 밀레니엄프로젝트·세계일반인공지능협회 등 20여 개 미래 연구 국제기구에서 한국 대표를 맡고 있다.

그는 가장 주목해야 할 것으로 교통수단의 급격한 혁신을 꼽았다. 대표적인 예가 우주교통수단과 초고속 화물 비행의 등장이다. 미국의 우주항공 스타트업 비너스에어로스페이스는 2029년에 지구촌 어디나 1시간이면 갈 수 있는 극초음속 로켓을 내놓겠다고 선언했고 H2클리퍼는 시속 280㎞의 속도로 150톤의 화물을 9650㎞까지 수송할 수 있는 대형 수소 비행선을 준비하고 있다. 드론 산업과 자율주행차량의 확산도 이전과는 완전히 세상을 가져올 요인으로 꼽힌다. 박 대표는 “드론과 우주항공 산업의 발전으로 조선과 자동차가 사양산업으로 전락할 수 있다”며 “우리나라에서 선거 때마다 등장하는 지방 공항의 필요성도 크게 줄일 것”이라고 예측했다.

박영숙 유엔미래포럼 대표


교통 혁명은 집값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1시간이면 전 세계 어디나 갈 수 있고 재택근무가 일상화한 세상이 되면 굳이 집값이 비싼 지역에 살 이유가 없어 전 세계 부동산 가격이 평준화할 것이라는 게 미래 학자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박 대표는 “한국의 집값은 미국 등 다른 선진국에 비해 터무니없이 비싼 편”이라며 “초연결 사회에 교통 혁명까지 가세한다면 부동산 수요는 좀 더 저렴하고 살기 좋은 곳으로 이동할 것”으로 점쳤다.

교육도 변혁의 바람을 피해가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이미 두뇌와 컴퓨터가 서로 정보를 주고받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이 등장하면서 배우지 않아도 새로운 지식을 얻는 길이 열릴 것으로 전망된다. BCI의 등장은 학교에 가지 않아도 수학·물리·외국어 실력을 갖출 수 있다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박 대표는 “예전에는 선생님을 통해 교육을 받으면서 세종대왕, 이순신 장군 등에게 한국이라는 정서적인 공감을 느꼈지만 선생님이 필요 없는 미래에는 이런 정체성을 찾아보기 힘들 것”이라며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이라는 표현도 틀린 말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박영숙 유엔미래포럼 대표가 일반 병원이나 요양병원 등에서 간호 업무를 수행하거나 지원할 수 있는 로봇 ‘그레이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AI와 로봇이 양극화를 심화시킬 것이라는 주장에 대해 그는 동의하지 않는다. 오히려 반대로 완화할 가능성에 방점을 찍는다. 예전에는 부유층만 쓰던 제품과 서비스가 기술 발전에 따른 생산성 향상으로 모든 사회 구성원이 누릴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반려동물처럼 ‘반려로봇’이 등장할 것이라는 예측도 같은 맥락이다.

앞으로 23년 후인 2045년이 되면 AI가 인간의 지능을 넘어설 것이라는 게 대다수 미래 학자들의 예견이다. AI가 인간보다 똑똑해진다면 지금은 반복·단순 작업 중심의 로봇 활동이 거의 모든 일자리로 확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자리를 둘러싼 지금의 세대별·성별 갈등이 미래에는 로봇과 인간의 대립으로 바뀔 수 있다. 로봇과 인간의 공생 방안을 지금부터 고민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다. 박 대표는 “미래에는 공공 분야의 AI 활용으로 비용이 줄어들 수 있는 만큼 남은 예산을 복지에 쏟아붓는 것이 필요하다”며 “민간에 로봇세나 환경세를 부과하는 방안도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미래 대비를 위한 전담 조직을 정부 내에 마련해야 한다는 입장도 내비쳤다. 박 대표는 “미국은 국가정보위원회(NIC), 영국은 미래청을 만들어 미래 기술을 예측하고 그것이 세상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연구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앞으로를 대비하기 위해 미래청과 같은 기구를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