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점차 둔화하겠지만 떨어지는 속도는 예측하기 어렵다는 한국은행 진단이 나왔다. 한은은 국제유가, 공공요금, 2차 파급효과, 기대인플레이션 상승, 노동시장 수급여건 등 물가를 둘러싼 리스크가 적지 않게 잠재해 있다고 평가했다.
2일 한은 조사국은 ‘물가 여건 변화 및 주요 리스크 점검’ 보고서를 통해 “최근 물가 오름세가 둔화하고 있으나 리스크 요인들이 적지 않게 잠재해 있는 만큼 향후 물가 둔화 흐름이 더디게 진행될 가능성에 유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리스크 요인으로는 국제유가 추이, 공공요금 인상 폭 및 시기, 유가 및 공공요금 상승에 따른 이차 파급영향, 기대인플레이션 변화 등을 꼽았다.
먼저 국제유가와 관련해선 중국 리오프닝 등에 따른 수요 확대 가능성, 우크라이나 사태 전개 양상과 러시아 감산에 따른 공급 차질 우려 등이 상방 리스크로 잠재해 불확실성이 크다고 평가했다. 공공요금 인상 폭과 시기와 관련해 불확실성이 큰 가운데 전기·도시가스 요금이 연내 추가 인상될 것으로 예상되는 점도 물가 상방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국제유가와 공공요금 상승이 근원물가로 전이되면서 물가 둔화 흐름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다는 설명이다. 생산원가 상승으로 제품과 서비스 가격이 다시 오르는 파급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최근 공공요금 인상 등으로 기대인플레이션이 오르는 것도 물가 둔화 속도를 더디게 만들 가능성이 있다. 석유류와 전기·도시가스요금은 체감도가 높아 단기 기대인플레이션과의 연관성이 적지 않은데 전기·가스·수도요금은 기대인플레이션에 즉각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다는 설명이다. 미국보단 낮지만 견조한 노동시장이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짚었다.
한은은 향후 물가 둔화 흐름이 더디게 진행될 가능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한은 관계자는 “국내외 경제 상황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큰 가운데 중앙은행의 정책대응에 따라서도 향후 물가 흐름이 달라질 수 있는 만큼 정교한 정책대응이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