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소울메이트'의 연출을 맡은 민용근 감독이 배우 김다미와 전소니에 대한 애정을 드러냈다.
'소울메이트'는 미소(김다미)와 하은(전소니)의 빛나는 청춘을 그린 작품으로 민용근 감독이 연출을 맡았다.
지난 7일 오후 서울 성동구의 한 카페에서 민용근 감독과의 인터뷰가 진행됐다.
먼저, 민용근 감독은 '소울메이트' 개봉을 앞둔 소감을 전했다. 그는 "당연히 떨린다. 떨리지만 확실히 좋은 기분이 더 느껴지는 것 같다. 극장에서 보여드릴 수 있다는 점이 좋다. 피드백이 궁금하기도 하고 개봉 기다리는 과정에서 계속 개봉하면 좋겠다는 상상을 했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러한 설렘을 개봉 전 배우들과도 함께 나눴다. 촬영이 끝나고도 사적인 자리에서 교류했던 그들은 카메라 앞이 아닌 뒤에서 자신들의 이야기를 나눴다.
"촬영이 끝나고 나서 많이 만났다. 촬영할 때는 진행 과정도 있고 일도 있다 보니 그때 못한 이야기들이 있지 않나. 후반 작업하던 중, 전소니 배우가 이사 가서 집들이를 간 적이 있는데 촬영 때 서로 하지 못했던 이야기들을 많이 했다. 그때 배우들이 관객들이 어떻게 볼지에 대해 많이 궁금해했다."
민용근 감독은 배우 김다미, 전소니와 함께 예전부터 작업해 보고 싶은 마음을 품고 있었다. 그는 김다미에 대해 "'이태원 클라쓰' 촬영 전 유일하게 '마녀'를 봤다. 장르물이기도 하고 굉장히 선이 분명했다. 그것이 다가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본능적인 감으로 연기하는 것도 좋고, 스펙트럼이 굉장히 넓은 배우라는 생각이 들었다. 개인적으로 만나서 이야기를 해도 내가 느끼기에는 그 나이대보다 조금 생각이 더 깊다는 느낌이었다. 아기 같은 외모를 하고 있는데 철든 느낌이다"라고 말하며 웃음을 터뜨렸다.
이어 전소니 배우에 대해서는 "'악질경찰'을 극장에서 봤다. 굉장히 눈빛에 다양한 이야기들이 있는 것 같았다. 영화적인 얼굴이다. 영화라는 매체에 너무 잘 어울린다. 언젠가 작업을 같이 해보고 싶었다. 시간이 많이 지나고 나서 시나리오가 완성되면 진행하고 싶었다"고 덧붙였다.
민용근 감독은 두 배우의 시너지를 최대한 내고 싶었다. 특히 여성들의 우정을 표현한 작품인 만큼, 두 여성 배우 사이에서 그들만의 케미스트리가 발생할 수 있도록 여러 면에서 고민을 아끼지 않았다. 그는 여성들의 우정과 섬세한 내면 감정 변화를 연출하기 위해 다양한 사람들에게 자문을 구했다.
"시나리오를 쓰다 보면 대사나 상황이 어디서 나왔을까 근원을 따지기 힘들 때가 있다. 직접적인 경험, 간접적인 경험, 상상으로 나올 때도 있다. 어린 시절부터 지금까지 굉장히 가까운 친구가 있는 분을 서면으로 인터뷰한 적이 있다. 대단한 일이 아니라 누구나 있을 수 있는 일들을 대략적으로 질문드렸는데 온 답변이 마음을 많이 움직이더라. 답장을 읽으면서 시나리오를 쓰는 감정의 기반이 마련됐다."
관련기사
이어 여성들의 우정에 대해 "특유의 뭉클함이 있는 것 같다. 주변에 여성 형제들이 많기도 하고 아버지보다는 어머니를 보면서 자랐는데 과시적이지 않고 과장하지도 않는다. 조용하고 은근해서 힘이 세다는 생각이 들었다. 촬영 현장에서도 김다미 배우와 전소니 배우가 저쪽 어딘가에서 이야기를 하는 모습을 봤다. 내밀한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것 같았는데 그 모습에 마음이 많이 뭉클했던 느낌이 들었다. 영화 속이든, 영화 밖이든 말이다"라며 회상했다.
민용근 감독은 두 주인공의 관계를 부각시키기 위해 극사실주의에 기반한 그림들을 작품에 등장시켰다. 그 그림들은 미소와 하은이 서로의 감정을 확인하는 계기이기도 하며, 서로에게 얼마나 소중한 존재인지를 깨닫는 매개체이기도 하다.
민용근 감독은 그림들을 언급하며 "백 마디의 말과 오랜 시간 동안 서로를 섬세하고 정확하게 지켜보려고 하는 태도가 중요하다. 그것이 미소와 하은의 관계가 가지고 있는 힘이다. 극사실주의 그림의 경우 연필로 세밀하게 그린다. 실제로 작가님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수개월, 혹은 일 년이 넘는 시간 동안 캔버스에 같은 얼굴을 마주하며 그린다고 하더라. 외면적으로 똑같이 그리려고 노력하는 것, 그것을 넘어서는 무언가가 생긴다고 했다. 얼굴을 마주할 때마다 감정이 다르고 그 대상에 대한 애정이 천천히 생기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더불어 극사실주의 그림을 그리는 화가처럼 서로를 바라봤던 미소와 하은의 관계에 대해 "미소와 하은의 관계가 우정이라고 말하기에는 굉장히 깊다. 평생에 단 한 사람이라는 수식어를 붙여도 될 만큼 둘의 인생에 있어서 서로가 유일한 사람이었다. 누구나 그런 관계를 꿈꾸지만 쉽지 않다. 어떻게 이 두 사람이 그렇게 될 수 있었는지 상상을 많이 했다"고 언급했다.
'소울메이트'는 터닝포인트들에 대한 영화이며 동시에 누구나 한 번쯤은 겪어봤을 후회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민용근 감독은 이번 작품을 제작하며 자신의 지난 터닝포인트들을 돌아봤다.
"사람들은 다 후회를 하는 것 같다. 나의 경우 특히 영화를 찍지 않았던 순간의 공백이 굉장히 길었다. 그 시간이 아깝고 이 시기에 다른 작품을 하지 못했다는 후회들이 있었는데 어느 순간부터는 그것이 중요하지 않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는 그때 내 나름의 분투를 하고 있었다. 그것이 결실을 못 맺은 경우도 많았지만 그것이 '소울메이트'를 만들고 촬영하는 동력이 됐다. 이 일을 좋아한다는 것도 그런 시간이 있었기에 깨달을 수 있었던 것 같다."
이어 그는 이 작품을 통해 자신만의 터닝포인트를 되돌아볼 관객들을 향한 메시지도 잊지 않았다.
"누구나 다 인생에 단 한 사람이 누군지, 내 옆에 있는 사람이 과연 그 사람인지 고민을 많이 하는 것 같다. 요즘엔 획일화된 관계로 규정하거나 맺고 끊고 버리는 것이 쉽다. 누구나 그것을 원하는 바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이 작품을 보면서 관계를 맺는다는 것의 본질이 어떤 것인지, 과장된 액션이나 몸짓들보다는 오랜 시간 동안 그 사람을 정확하게 바라보는 태도가 어떤지, 운명적인 끌림이 있다고 하면 그 사람이 인생의 '소울메이트'가 아닌지 반추해 보면 좋지 않을까 생각한다."
한편, 민용근 감독이 연출을 맡은 '소울메이트'는 오는 15일 개봉 예정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