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16일 일본에 도착한 직후 임시 상황실을 만들고 북한의 미사일 도발 상황을 보고받을 것으로 알려졌다. 12년 만의 한일정상회담을 겨냥해 이날 오전 7시 10분께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로 추정되는 장거리 탄도미사일을 동해상으로 발사한 것에 대한 대응이다. 윤 대통령은 일본으로 출국하기 직전에도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에 참석해 북한의 도발 상황을 보고받았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도쿄 프린스파크타워호텔에 마련된 브리핑룸에서 기자들을 만나 “윤 대통령은 도쿄 숙소에 도착한 직후 상황실을 방문했다”고 밝혔다. 그는 “(임시로 설치된) 해당 상황실은 합동참모본부는 물론 국가위기관리센터와 연결돼 있다”며 “현재 안보 당국의 대응 상황을 확인할 수 있고 (윤 대통령은) 화상회의를 통해 보고를 받았다”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보고를 받은 뒤 “특이 사항이 있으면 상황실에서 계속 점검하고 대응하겠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진다. 북한이 한일정상회담을 의식해 도발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오자 대통령이 해외에 있더라도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 대응에 빈틈이 생기지 않음을 강조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윤 대통령은 공군 1호기에 탑승하기 직전에도 긴급 NSC에 참석해 빈틈 없는 대응을 주문하기도 했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우리 군은 북한의 어떠한 위협도 억제하도록 확고한 한미 연합 방위 태세를 유지해야 한다”며 “현재 진행 중인 ‘자유의방패’ 연합연습을 철저하게 수행하라”고 지시했다. 윤 대통령은 “북한의 무모한 도발은 분명한 대가를 치를 것”이라며 “한미일 안보 협력을 더욱 강화시키라”고 당부하기도 했다.
이날 도쿄에 설치된 ‘임시 상황실’은 윤석열 정부 대북 대응 태세의 특징이기도 하다. 윤 대통령이 취임 직전 대통령 집무실을 청와대에서 용산으로 옮기면서 발생한 현상이다. 집무실과 관저가 멀어져 유사시 이동하면서도 상황을 파악하고 지시할 수 있는 이동형 지휘 통제 시스템의 필요성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이에 이번 임시 상황실 설치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대통령이 즉시 군 지휘 통제를 강화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