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수산화리튬 두달새 반토막…K배터리 "오히려 좋아" 왜? [biz-플러스]

포스코그룹의 아르헨티나 옴브레 무에르토 리튬 염호 전경. 사진제공=포스코홀딩스




K배터리의 주요 소재인 수산화리튬 가격이 두달 만에 ‘반토막’ 수준으로 급락했다. 주요 원자재 하락으로 인해 한국 배터리 제품 가격도 2분기부터 최대 10% 하락할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된다. 하지만 국내 배터리 업계는 이번 가격 하락을 실적 개선의 기회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과의 가격 경쟁력 격차를 좁히고 생산량을 늘려 매출을 크게 확대할 수 있어서다.

‘핵심 원자재’ 수산화리튬 두달새 42% 급락




16일 런던금속거래소(LME)에 따르면 수산화리튬 가격(1개월 선물 기준)은 지난 12일 기준 톤당 4만2043달러(약 5610만 원)로 3월 7일(7만2630 달러)에 비해 42.1%나 내려갔다. 수산화리튬은 탄산리튬을 한번 더 가공한 소재로 한국 배터리 업계가 만드는 전기차용 니켈·코발트·망간(NCM) 배터리에 주로 활용된다.

최근 급락세는 중국에서 리튬 공급 과잉이 발생한 데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세계 최대 배터리 회사인 중국 CATL은 지난 2월부터 당시 시세의 절반 미만인 톤당 20만 위안(약 3830만 원) 수준으로 탄산리튬을 자국 전기차 기업들에 공급했다. 지난해 11월만 해도 톤당 60만 위안에 육박했던 탄산리튬 가격은 이후 하락세를 이어갔고 결국 10만 위안대로 주저앉았다.

이에 따라 리튬 가격에 연동되는 배터리 판가의 하락이 불가피해졌다. 리튬 가격이 오르면 배터리 가격이 상승하는 반면 리튬 가격이 내리면 배터리 가격도 떨어진다. 2분기부터 배터리 가격 하락이 본격화하면서 올해 5~10% 수준으로 판가가 하락할 수 있다는 예상이 제기된다. 조현렬 삼성증권 연구원은 “중국에서 탄산리튬 재고가 늘어나면서 한국이 주로 쓰는 수산화리튬 가격에도 영향을 미쳤다”면서 “2분기부터 K배터리 판가가 하락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中 CATL과 가격 경쟁력 격차 해소 기대


중국 CATL. 연합뉴스




업계에선 배터리 가격 하락과 관련해 단기적으로는 수익성이 나빠질 수 있지만 중국과의 경쟁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날 것으로 기대했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기준 한국 배터리의 평균 판가는 kWh(킬로와트시)당 157달러로 중국(135달러)보다 14% 비쌌다. 올 1분기까지 벌어졌던 한국과 중국 간 배터리 가격 격차는 2분기부터 본격적으로 좁혀질 것으로 보인다.

K배터리는 해외 배터리 생산능력 확대에 속도를 내며 리튬 하락세를 실적 개선의 기회로 삼겠다는 전략이다. LG에너지솔루션(373220)은 지난달 열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올해 매출이 전년 대비 30%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른 배터리 업체들의 전망도 긍정적이다. 김윤태 삼성SDI(006400) 상무는 “(메탈 가격 하락으로) 일시적인 손익 영향은 있겠지만 분기, 연간 단위로 볼 때는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며 “판가 하락이 전기차 가격 인하 요인이 될 수 있고 궁극적으로는 전기차 수요 확대에 도움이 되는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실제로 올해 들어 반값 전기차 등 전기차 가격 경쟁이 거세지면서 저가형 배터리에 대한 글로벌 완성차 업계의 수요가 커지는 모양새다.

‘리튬 장악’ 중국 수입 의존도 낮춰


하얀 색의 리튬 소재. AP연합뉴스


수산화리튬 가격 하락은 K배터리의 중국 의존도 완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한국무역협회 통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수산화리튬 수입액은 21억6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490.3% 급증했으며 이 중 중국산 비중은 90%에 달했다. 대(對)중국 무역적자를 키우는 요인으로도 지목된다. 전 세계 리튬 가공 분야에서 중국 점유율은 70% 수준이다.

업계 관계자는 “전 세계 리튬 공급망은 중국이 장악하고 있다”면서 “리튬 가격이 떨어지면 배터리 소재에 대한 중국 의존도를 낮출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국내에선 포스코그룹이 리튬 공급망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포스코홀딩스는 아르헨티나 염호에 짓고 있는 1단계 공장을 2024년 상반기까지 준공할 예정이다. 2025년까지 2단계 공장을 모두 완공해 연 5만톤의 수산화리튬 생산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포스코홀딩스는 광석리튬 생산법인인 포스코필바라리튬솔루션을 통해 전남 광양 율촌산업단지에 연 4만3000톤 규모의 수산화리튬 공장을 올해 준공해 이 리튬을 가공할 계획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