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노조 총파업이 이틀째 이어지면서 수술 일정 조정, 입원 환자 퇴원 등 병원 곳곳에서 의료 차질이 빚어졌다. 파업인 줄 모르고 병원을 찾았다가 발길을 돌리는 시민들도 늘고 있다. 총파업에는 140개 사업장(병원) 내 조합원 6만여 명이 참여했다. 이 중 1만 5000여 명은 의료 필수 인력으로 파업에 동참하지 않았다. 하지만 평소보다 4분의 3가량 인력이 없는 병원은 ‘비정상 운영’으로 환자들이 큰 불편을 겪었다.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한양대병원은 이날 파업으로 인력이 부족해지자 전공의가 외래 진료 접수 업무를 맡기도 하고 환자 이송 업무 등에 행정직을 동원했다. 환자들은 파업으로 제시간에 진료받지 못할까 봐 이날 아침부터 일찌감치 병원을 찾기도 했다. 경희대병원에서는 병동 간호사 파업으로 인력이 부족해지자 병동과 중환자실의 신규 입원을 제한하기도 했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이날 “민주노총 파업 동참을 멈추고 환자와 국민들의 곁을 지켜달라”고 재차 요청했다. 윤재옥 국민의힘 원내대표도 원내대책회의에서 이번 파업을 ‘민폐 파업’이라고 비난하며 “요구 사항이 무엇이건 이렇게 대규모 의료 공백을 일으키면서까지 총파업을 하는 것은 의료인의 윤리와 의무를 저버린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민주노총이 정권 퇴진을 구호로 내걸고 2주간 40만 명의 조합원을 동원한 이번 총파업은 15일로 종료된다. 하지만 파업의 불법과 합법이 어디까지인지, 국민이 파업 피해를 얼마나 감내할지 등 여러 과제를 남겼다.
민주노총은 15일 서울에서 ‘정권 퇴진 범국민대회’를 끝으로 2주간의 총파업을 마무리한다. 총파업 종료 하루 전인 이날도 보건의료노조는 서울을 비롯해 4개 지역에서 대규모 집회와 병원 내 파업을 이어갔다. 비리 수사와 정부 대책으로 정부와 각을 세웠던 건설노조도 이날 오후 서울에서 조합원 5000여 명이 모이는 도심 집회를 열었다.
연례적으로 총파업을 하는 민주노총은 올해 총파업의 핵심 구호로 노조 탄압 중단, 최저임금 인상, 근로시간제 개선안 폐기 등 노동권 강화를 내걸었다. 2주간 120만여 명의 민주노총 조합원 중 40만여 명은 각 산별노조 계획에 따라 파업과 집회에 참여했다.
특히 이번 총파업은 정권 퇴진이라는 정치적 구호를 앞세우면서 예년처럼 정치·불법 파업 논란을 자초했다. 현대차 노조가 13일 정당한 쟁의권 없이 파업에 나서면서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이 공개적으로 ‘불법 파업’이라며 이례적으로 경고하는 등, 일단 총파업은 마무리됐지만 앞으로 노정 간 갈등이 지속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