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지역아동센터 이용자들 가운데 이주민 자녀의 비중이 가파르게 늘고 있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다문화 관련 교육이 거의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지역아동센터들이 다문화 교육 마련을 위해 민간에 도움을 요청하고 있어 지방자치단체와 관계 부처의 지원과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8일 서울경제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지역아동센터는 전국에 4771개가 운영 중(2021년 말 기준)이며 이용 아동 수는 총 10만 6746명에 달했다. 이 가운데 부모님 중 한 명 이상이 외국 출신인 이주 배경 가정의 아동은 2만 1386명으로 전체 20.03%에 달하는 등 매년 느는 추세다.
이주 배경 아동이 이용하고 있는 지역아동센터의 수도 총 3342개로 전체 70.04%를 차지했다. 이 중 5명 이상의 이주 배경 아동을 보살피고 있는 지역아동센터는 전체 58.1%에 달했다. 지방 소도시의 경우 이주 배경 아동 비율이 90%를 넘는 지역아동센터들도 있어 지역아동센터의 다문화화(化)가 가속화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보건복지부·지자체 등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는 지역아동센터는 ‘아동복지법 제52조 제8항’에 따라 지역사회 아동의 보호·교육·건전한 놀이와 오락의 제공, 보호자와 지역사회의 연계 등 종합적인 아동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며 아동 돌봄·복지의 중요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문제는 지역아동센터 내 이주 배경 아동 수가 늘어나고 있지만 그에 걸맞은 다문화 교육이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전국 지역아동센터 통계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전국 지역아동센터에서 실시하고 있는 교육은 일상생활 관리, 숙제 지도, 예체능 활동, 관람·견학, 아동 상담, 보호자 교육, 인적 연계 등으로 다문화 관련 교육 프로그램은 없는 상태다.
경기 김포시 소재 지역아동센터 교사 A 씨는 “한국 가정 아이들과 이주 배경 가정 아이들 모두 문화적 다양성, 인종 등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하다”며 “특히 센터 이용의 75%를 차지하는 이주 배경 아이들의 경우 언어 소통에서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아쉬움을 나타냈다.
이주 배경 가정의 비율이 높은 일부 대도시의 상황은 그나마 나은 편이다. 김포·화성·시흥·전주·김해 등 5개 지자체는 여성가족부의 ‘이주 배경 청소년 지원 지역 자원 연계 사업’을 통해 지역아동센터의 다문화 교육과 지역 연계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이 외 시도의 지역아동센터들은 민간 재단이 운영하는 다문화 지원 교육 프로그램에 문을 두드려야 하는 실정이다. CJ나눔재단의 다문화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충남의 한 지역아동센터 30대 교사 권 모 씨는 “지자체에 요청을 해도 이미 하고 있는 다문화 관련 사업들이 있어 지역아동센터에 지원하기 어렵다는 입장이었다”며 “결국 민간 재단의 다문화 지원 프로그램으로 한국 가정 아동과 이주 배경 아동 모두에게 적합한 교육을 진행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정지윤 명지대 산업대학원 이민·다문화학국제교류경영전공 교수는 “정부와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하는데 지금까지 지역아동센터에서의 다문화 교육은 전혀 체계화가 안 됐었다”며 “지역아동센터에 전문가를 배치하고 다문화 교육을 의무화해야 결국 학교에서도 한국 가정과 이주 배경 가정 아이들이 함께 한국인으로 자라날 수 있다”고 제언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