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책 연구기관인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이 내년도 글로벌 경제성장률을 2.8%로 제시했다. 이는 올해 경제성장률(3.0%)은 물론이고 KIEP가 6개월 전 제시했던 내년도 전망치보다도 0.2%포인트 후퇴한 수준이다.
KIEP는 14일 이런 내용의 ‘2024년 세계경제 전망’을 발표했다. 내년 성장률 2.8%는 5월 내놓았던 전망치에 비해 0.2%포인트 하향 조정된 것이다. 또 경제개발협력기구(OECD)의 추산치(2.7%)보다 높지만 국제통화기구(IMF·2.9%)보다 보수적인 수치다.
중국 경제성장률은 내년 4.5%를 기록해 올해(5.3%)보다 둔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내년 성장률도 6개월 전 전망치(4.7%)보다 0.2%포인트 낮다. 유로 지역에 대해서도 내년도 성장률로 1.1%를 제시해 기존(1.4%) 대비 0.3%포인트 낮췄다.
미국 경제성장률도 올해 2.4%에서 내년 1.5%로 둔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기존(1.0%)에 비해서는 전망치를 0.5%포인트 올려 잡아 그나마 미국 경제는 상대적으로 사정이 낫다는 평가다. KIEP는 “견조한 고용 시장에 힘입은 소비 지출의 영향이 2024년도에는 어느 정도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내년도 경제성장이 힘들 것으로 본 이유는 고금리·고물가 장기화가 첫손에 꼽혔다. KIEP는 ‘당겨 쓴 여력, 압박받는 성장’을 내년도 경제 핵심 키워드로 제시하면서 중국 경제의 중장기 저성장, 지정학적 충돌 악화, 고금리·고부채를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거론했다. 이시욱 KIEP 원장은 “지정학적 충돌이 심화된다면 금리를 더 내리기 힘든 상황이 될 것”이라며 “중국이 활황세를 보인다면 물가 압력이 높아지는 것도 변수”라고 진단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