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세관이 자국 비료 업계에 요소를 우선 공급하기 위해 한국으로의 수출 통관을 일부 지연시키는 것으로 확인됐다. 현재 비축·대체 수입처 확보 등을 통해 확보된 물량은 총 3개월분으로 당장 수급난이 일어날 가능성은 작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하지만 수출 통제가 내년 1분기까지 이어지고 앞으로 더 빈번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며 업계는 바짝 긴장하고 있다.
정재호 주중 한국대사는 4일 베이징 주중대사관에서 기자단을 만나 “지난달 30일 차량용 요소를 수입하는 일부 한국 기업이 중국 통관 문제를 겪고 있음을 확인했다”며 “이에 1일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와 해관총서(관세청)·상무부·외교부에 차질 없는 통관을 요청하는 공문을 발송했다”고 말했다. 이어 “같은 날 국가발전개혁위로부터 ‘관련 내용을 적시에 파악하고 필요한 후속 조치를 강구하겠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밝혔다.
중국의 이번 조치는 ‘요소를 우선 공급해달라’는 자국 비료 업계의 요청에 따른 것으로 전해졌다. 자국 내 수급이 불안정해지자 지난달 17일 중국질소비료공급협회가 회원사에 요소 비료의 상위 개념인 질소 비료의 수출을 자제하자는 문서를 발표했고 이후 통관 절차 역시 늦어지게 된 것이다. 이를 두고 정부 관계자는 “요소 수출을 통제한다고 중국이 공식 발표한 게 아닌 만큼 2021년 요소수 대란 때와는 상황이 다르다”고 설명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자국 수요를 우선 충족하기 위한 수출 제한 조치가 잦아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최근 인도 등 일부 국가가 중국산 요소 수입을 대폭 늘리면서 중국 내 수급이 불안해지는 흐름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비료 업계 안팎에서는 이번 조치가 내년 1분기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마저 흘러나오고 있다.
이에 산업통상자원부는 1일에 이어 이날도 관계 부처 및 업계를 불러 모아 수급 점검 및 대응 마련 회의를 열었다. 정부는 동남아·중동 등으로 수입처를 다변화해 요소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수입 대체품의 신속한 통관을 지원할 방침이다. 정부는 또한 이날 열린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공동위원회에서도 이번 수출 제한에 대한 즉각적인 조치를 요청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