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2024년 해맞이 어디에서 볼까

동해 일출 명소 일제히 해맞이행사 준비 한창

수도권·서해 지역 명소 늘어나

제주도·울릉도 등 특별한 일출 감상





2024 갑진년 새해를 맞아 전국 곳곳에서 해맞이 행사가 열린다. 지난해보다 하루 길어진 연휴로 코로나 팬데믹 이후 가장 많은 인파가 몰릴 전망이다.

28일 전국 각 지자체에 따르면 한반도에서 가장 먼저 해가 뜨는 울산 울주 간절곶은 1000대의 드론라이트쇼를 동반한 2024 카운트다운과 축하 불꽃놀이를 진행한다. 밤 새워 일출을 기다리는 방문객을 위해 방한 텐트와 영화 상영, 체험프로그램 등도 마련한다. 청룡의 해를 상징하는 ‘청룡 유등 터널’을 비롯한 형형색색의 LED 조형물 포토존을 조성해 설 연휴까지 운영한다.

울주군과 맞닿은 경남 양산시는 지난해 12월부터 천성산을 ‘유라시아에서 가장 먼저 일출을 볼 수 있는 곳’으로 홍보하고 있다. 해발 922m 높이의 천성산 정상이 해발 0m인 울주군 간절곶보다 5분정도 일출이 빠르다는 것이다. 그 동안 명칭을 따로 제정하지 않았던 천성산 봉우리 2곳을 최근 원효봉과 비로봉으로 각각 지명을 확정했다.

포항 호미곶 일출. 서울경제DB


일출 논쟁에서 빠지지 않는 곳은 포항 호미곶이다. 호미곶은 해가 남쪽으로 내려가는 겨울철을 제외하면 한반도에서 가장 먼저 해가 뜨는 곳이다. 1월 1일 기준 간절곶에 밀리면서 ‘최초’ 타이틀을 빼앗겼지만 여전히 ‘원조’ 일출 맛집이다. ‘상생의 손’ 조형물 위로 떠오르는 일출 장면은 해맞이의 상징이다. 올해 26회째를 맞이하는 호미곶한민족해맞이축전은 해군 항공사령부와 해병대 항공단의 축하 비행쇼로 이목을 끈다. 팝페라, 뮤지컬 등 2024 신년 축하 콘서트도 마련된다.

강원도는 국내 대표 해맞이 명소인 정동진 모래시계 공원과 경포해변, 추암 촛대바위 등 각지에서 행사를 개최할 예정이다. 정동진 해변은 세계에서 바다와 가장 가까이 있는 간이역이 있고, 역을 나오면 바로 바다가 보인다. 또 모래시계공원과 남쪽의 조각 공원 등 볼 거리도 많다. 촛대바위는 동해시와 삼척시 경계 해안에 위치해 동해의 대표 해돋이 명소로 꼽힌다. 속초 등대 밑의 바닷가에 흩어져 있는 암반 지역을 일컫는 ‘영금정’은 파도가 석벽에 부딪히면서 내는 소리가 마치 거문고를 타는 것과 같아 붙여진 이름이다.



동해와 남해의 경계인 부산 해운대해수욕장에서는 새해맞이 공연, 시민 새해 소망 현장 인터뷰, 일출 감상 행사가 진행된다. 남해에선 섬과 섬 사이로 떠오르는 아름다운 일출을 감상할 수 있다. 경남 고성 해맞이공원은 잔잔한 바다 위로 떠오르는 태양을 볼 수 있는 곳으로 고성군의 심볼인 대형 공룡 조형물과 아담한 정자, 유리 전망대, 산책로가 있어 많은 관광객이 붐빈다. 경남 사천바다케이블카는 해마다 1월 1일 오전 6시부터 조기 운행한다. 한려수도의 아름다움과 아기자기한 섬들이 어우러진 사천 바다의 일출을 즐길 수 있다.

해돋이 명소 강원도 강릉시 사천진 수평선 너머로 힘차게 떠오르고 있다. 서울경제DB


수도권과 서해에서도 다양한 해맞이 행사가 열린다. 경기도 시흥시, 안산시, 화성시에 둘러 쌓인 인공호수인 시화호에서 즐기는 해맞이도 남다르다. 특히 드라이브 스루로 감상하기 좋은 안산 대부도 해안도로는 오이도와 대부도를 잇는 다리로 잔잔한 시화호 위로 떠오르는 눈부신 해돋이를 볼 수 있는 곳이다.

일몰과 일출을 한 곳에서 모두 감상할 수 있는 충남 당진시 왜목마을은 일출 명소로 자리잡았다. 국내 해상 조형물로는 가장 높은 30m의 높이의 조형물인 ‘새빛왜목’은 젊은 세대 사이에서 사진 촬영 명소로 인기를 모으고 있다.

제주도와 울릉도, 독도 등 섬에서 맞이하는 해맞이는 좀 더 특별하다. 제주특별자치도 한라산국립공원관리소는 2024년 첫 해돋이를 한라산에서 맞으려는 탐방객을 위해 새해맞이 야간산행을 특별 허용한다. 서귀포시 성산일출봉 인근 광치기해변에서 바라보는 일출은 탄성을 자아낸다. 울릉도와 독도에선 누구보다 빨리 새 해를 맞이할 수 있다.

일몰과 일출을 한 곳에서 모두 감상할 수 있는 충남 당진 왜목마을 일출. 사진제공=당진시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