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뇌로 번진 암덩어리, 2개월만에 사라져” 말기 폐암 환자의 고백[메디컬 인사이드]

■안병철 국립암센터 혈액종양내과 교수

어지럼증·비틀거림 증상도 폐암 신호일 수 있어

폐암, 원발암 크기와 무관하게 뇌전이 진행 흔해

3세대 EGFR 표적항암제 폐암 1차치료 건보 적용

뇌전이 동반 폐암환자 대상 뛰어난 치료 효과 입증

안병철(왼쪽) 국립암센터 혈액종양내과 교수가 조정숙 환자와 함께 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국립암센터




“왼쪽이 처음 내원하셨을 때 자기공명영상(MRI) 사진, 오른쪽이 오늘 오전에 찍은 사진입니다. 하얗게 덩어리졌던 뇌전이 병변 부위가 까맣게 변한 거 보이세요?”

“어머나. 정말 두 달만에 암덩어리가 감쪽같이 사라졌네요. ”

작년 11월 국립암센터에 외래 진료를 받으러 온 조정숙(61·여) 씨가 왈칵 눈물을 쏟았다. 평소 별다른 지병 없이 건강했던 조씨는 작년 8월 코로나19에 두번째 확진됐다. 숨이 차거나 기침 같은 호흡기계 증상은 며칠만에 사라졌는데 메스껍고 어지러운 증상이 이어졌다. ‘말로만 듣던 코로나 후유증인가’ 싶어 걷기 운동을 시작했다는 조씨. 운동 중 갑자기 머리가 흔들리고 비틀거리는 느낌을 받고 부랴부랴 인근 병원 응급실을 찾았는데 MRI 검사 결과 ‘비소세포폐암 4기’라는 진단을 받았다.



폐에서 기원한 악성 종양은 암세포의 크기, 형태 등 병리조직학적 기준에 따라 크게 소세포폐암과 비소세포폐암으로 나뉜다. ‘소세포폐암(small cell lung cancer)’은 현미경을 통해 확인되는 암세포의 크기가 작은 유형이다. ‘비소세포폐암(non-small cell lung cancer)’은 소세포폐암을 제외한 상피성 폐암을 통칭하는데 전체 폐암의 80%에 달한다. 조씨의 경우 이미 폐를 싸고 있는 흉막을 넘어 뇌전이가 일어난 상태였다.

주치의인 안병철 국립암센터 혈액종양내과 교수는 “폐 사진만 봤다면 뇌전이가 있다는 사실을 몰랐을 정도로 원발 폐암 자체는 크지 않았다”며 “원발암이 작아도 원격전이가 발생할 위험이 높다는 게 폐암의 가장 무서운 점”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폐에 생긴 종양이 크지 않아도 작은 암세포들이 머리로 이동해 커지기도 한다. 호흡기계 증상이 전혀 없다가 어지러움, 비틀거림 등 신경계 증상을 호소해 덜컥 ‘폐암 4기’ 진단을 받는 환자들이 바로 이런 경우다.

안병철 국립암센터 혈액종양내과 교수가 폐암 치료의 최신 동향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 제공=국립암센터




그런데 이달 초 병원에서 만난 조씨는 5개월 전 말기 폐암 진단을 받았다고는 여겨지지 않을 정도로 편안해 보였다. 조씨는 “말기 폐암이라는 말을 듣고 평정심을 유지할 수 있는 사람이 어디 있겠느냐”며 “처음 진단을 받았을 땐 그야말로 하늘이 노랬다”고 말문을 열었다. 잔뜩 겁에 질려 진료실에 들어선 조씨에게 안 교수가 건넨 첫 마디는 '운이 좋으시네요'였다고 한다. 곧이어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EGFR) 돌연변이에 꼭 들어맞는 폐암 표적항암제가 허가를 받았고 치료비 지원도 가능하니 안심하라”는 설명이 이어졌다. 첫 진단 때 말기 폐암으로 진단된 환자들이 절망에 빠져 치료를 거부하는 사례가 종종 있다보니 너무 염려하지 않아도 된다는 ‘안 교수식’ 위로였던 셈이다.

폐암은 유독 아시아인에게 가혹하다. 세계보건기구(WHO) 국제암연구소(IARC)가 발간한 보고서(GLOBOCAN 2020)에 따르면 폐암 신규 환자의 59.6%가 아시아에서 진단됐다. 아시아의 폐암 사망률은 61.9%로 유럽(21.4%)·북미(8.9%)·중남미(4.8%) 지역을 압도한다. 아시아인은 폐암 유발인자로 알려진 여러 유전자 중 EGFR 돌연변이 발생률이 40~55%로 백인(15~25%)에 비해 2~3배가량 높다. 다행스러운 건 EGFR 돌연변이의 세포 내 도메인의 타이로신인산화효소(tyrosine kinase)에 선택적으로 결합해 하위 신호 경로를 차단하는 표적항암제가 다수 개발되어 있다는 점이다.

불과 몇년 전까지 ‘타그리소·렉라자’ 같은 3세대 EGFR 표적항암제는 ‘이레사·타쎄바’와 같은 1·2세대 약물을 복용하다 T790M 내성이 생겨야 2차치료제로 처방이 가능했다. 그런데 국산 신약 31호로 불리는 ‘렉라자’가 작년 7월 EGFR 엑손 19 결손 또는 엑손 21 치환 변이가 확인된 국소진행성 또는 전이성 비소세포폐암의 1차치료제로 허가되며 선택 가능한 치료 옵션이 늘었다.

3세대 표적항암제는 기존 1·2세대 약물과 달리 뇌혈관장벽 투과율이 우수해 뇌전이에도 뛰어난 치료 효과를 보인다. 다만 신약 품목허가를 받아도 건강보험 급여 적용까지 통상 1년 내외의 기간이 소요되다 보니 접근성이 높지 않았다. 실제 ‘렉라자’와 동일한 기전으로 작용하는 ‘타그리소’는 1차치료제 허가 후 5년간 비급여 상태가 지속됐는데 1년 약값이 7000만 원에 달해 수많은 환자들이 치료를 포기했다. 조씨가 폐암 진단을 받은 시점은 1차치료제로 처방 가능한 3세대 약물이 2가지로 늘어났을 뿐 아니라 ‘렉라자’ 개발사인 유한양행(000100)이 “급여 처방이 가능해질 때까지 약제를 무상 지원하겠다”고 선언한 직후였다.

렉라자는 글로벌 임상 3상시험에서 조씨와 동일한 변이(엑손 19 결손) 환자를 상대로 20.7개월의 무진행생존기간(종양 크기가 더 나빠지지 않은 상태로 생존한 기간)을 입증해 처방할 만한 근거가 충분했다는 게 안 교수의 설명이다. 조씨는 “약물 복용을 시작한 지 약 2개월 만에 촬영한 MRI에서 뇌전이가 호전된 것을 보니 꿈만 같았다”며 “항암치료 전 걱정이 많았는데 초기에 평소보다 입맛이 떨어지고 가끔 손발이 저린 것 외에는 별다른 불편감을 느끼지 못했다. 오히려 약을 복용할 수록 어지럼증이 사라지면서 컨디션이 좋아졌다”고 말했다.

3세대 EGFR 표적항암제 2종은 올해 1월부터 나란히 폐암 1차치료제로 건보 적용을 받는다. 국소진행성 또는 전이성 비소세포폐암 환자 1인당 연간 투약비용은 약 6800만 원에서 약 340만 원으로 낮아졌다. 조씨 역시 지난달부터 건보 혜택을 받고 있다. 안 교수는 “이제 머리카락이 다 빠지는 등 심한 부작용 없이 먹는 약만으로도 폐암 치료가 가능해졌다”며 “폐암 완치까지도 기대해 볼 수 있는 시대가 열린 만큼 많은 암환자들이 희망을 갖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