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형제국’으로 불린 쿠바와의 수교를 계기로 니켈 등 2차전지 핵심 광물 공급선이 다양화되고, 에너지·문화 분야 등 국내 기업들의 사업 기회의 문이 넓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대통령실은 18일 보도자료를 내고 이 같은 ‘한국-쿠바 수교에 따른 분야별 기대효과’를 밝혔다. 쿠바는 카리브해 지역의 중심 국가지만 우리 정부와 외교관계가 부재한 탓에 미개척 시장으로 남아있었다. 2022년을 기준으로 한-쿠바 간 교역규모는 수출 1400만 달러(약 190억 원), 수입 700만 달러(약 95억 원)에 불과하며 대부분 제3국을 통한 무역으로 이뤄졌다.
미국의 대(對)쿠바 제재로 직접 교역에는 상당한 제한이 있지만, 쿠바와의 경제협력 기반 조성했다는 점에서 수교의 의미가 작지 않다고 대통령실은 평가했다. 특히 정부는 쿠바가 2차전지 생산에 필수적인 핵심 광물의 주요 매장지라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쿠바는 니켈 생산량 세계 5위, 코발트 매장량 세계 4위다. 미국의 제재 해제시 신흥시장으로 부상이 가능하다”며 “광물 공급망 분야의 협력 잠재력이 다대하다”고 강조했다.
한국 기업들의 진출 확대도 기대된다. 쿠바는 만성적인 전력 위기 타개를 위해 발전 설비 및 신재생 에너지 확대를 모색하고 있다. 발전기·플랜트등 에너지 분야에 강점을 지닌 한국 기업의 경쟁력이 돋보일 수 있는 대목이다. 또한 통신 등 낙후된 인프라 분야를 중심으로 한 공적개발원조(ODA) 제공 등과 연계한 기업들의 진출 확대도 가능할 전망이다.
아울러 쿠바의 농수산물을 비롯해 시가, 럼주 등 기호식품 수출도 확대가 예상된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사회주의 국가인 쿠바는 교역, 경제협력에 있어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수교 및 공관 개설로 정부 차원의 접촉이 상설화되면 협력 기반 발굴도 용이해질 것”이라고 했다.
향후 쿠바 공관 개설로 체계적 영사 조력도 가능해진다. 코로나19 이전에는 연간 약 1만 4000명의 국민들이 쿠바를 방문해왔지만, 공관 부재로 현지 영사협력원, 코트라 무역관이 간접적으로 영사 조력을 제공해왔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공관 개설 시 사건·사고 발생 관련 24시간 영사조력을 즉각 제공할 수 있다 ”며 “쿠바인들의 한국 방문을 위한 비자 신청도 더 편리해질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이밖에도 정부는 쿠바 한인 후손과 독립유공자 대상 보훈 외교도 적극 추진할 방침이다.
대통령실은 쿠바에서 한류 확산 활동을 전개하고, 야구 강국인 쿠바와 스포츠 협력도 확대하겠다고 소개했다. 또 세계적 수준의 의료·바이오 산업 경쟁력을 보유한 쿠바와의 임상의료 분야 공동 연구개발(R&D) 등 다층적 협력도 모색할 계획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