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반도체·저PBR 반등’ 코스피 2740 회복…‘HLB 쇼크’ 코스닥 1% 넘게 하락 [마감 시황]

개인 3676억·외국인 178억 순매도

삼성전자 1.94%·SK하이닉스 0.11%


코스피가 반도체주와 주가순자산비율이 낮은 종목(저PBR주) 강세에 2740대를 회복했다.

코스피와 코스닥의 등락세가 엇갈린 20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의 화면에 이날 코스피, 코스닥지수의 종가와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 있다. 연합뉴스




20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17.52포인트(0.64%) 상승한 2742.14에 장을 마쳤다. 지수는 전장보다 16.62포인트(0.61%) 오른 2741.24로 출발해 장중 2750선을 넘어서기도 했으나 이내 상승 폭을 줄였다.

유가증권시장에서 기관이 3966억 원 순매수하며 지수를 끌어 올렸다.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3676억 원, 178억 원 매도 우위를 보였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코스피는 기관 순매수세에 힘입어 강세를 보였다”며 “삼성전자(005930)가 7거래일 만에 강세로 전환하고 자동차와 금융업종 강세가 코스피 상방 압력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 삼성전자(1.94%)와 SK하이닉스(000660)(0.11%) 등 반도체주와 현대차(005380)(2.66%), 기아(000270)(1.95%), KB금융(105560)(1.87%), 신한지주(055550)(2.73%) 등 저PBR(주가순자산비율)주가 올랐다. LG에너지솔루션(373220)(-1.20%), 삼성SDI(006400)(-1.62%), LG화학(051910)(-1.63%) 등 2차전지주와 셀트리온(068270)(-2.35%), 네이버(NAVER(035420)·-1.76%) 등이 내렸다.



에브라힘 라이시 이란 대통령이 헬기 추락 사고로 사망하면서 중동 정세 혼란이 가중될 수 있다는 우려가 번지는 가운데 한국석유(004090)(5.24%), 에쓰오일(S-Oil(010950)·2.91%), 극동유화(014530)(2.04%) 등 정유주가 일제히 올랐다. 업종별로 보면 운수장비(1.11%), 전기전자(1.05%), 금융업(0.98%) 등이 올랐으며 서비스업(-1.63%), 의약품(-0.90%), 섬유의복(-1.03%) 등은 내렸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7.98포인트(0.93%) 내린 847.08에 장을 마쳤다. 지수는 전장보다 1.16포인트(0.14%) 오른 856.22로 출발해 내림세로 돌아섰다.

코스닥시장에서 개인과 기관이 각각 670억 원, 491억 원 순매도하며 지수를 끌어 내렸다. 기관은 1353억 원 매수 우위를 보였다. HLB(028300)(-29.96%)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신약 승인 불발로 2거래일 연속 하한가를 나타내며 지수에 하방 압력을 가했다. 시총 상위 종목 가운데 셀트리온제약(068760)(-1.77%), 클래시스(214150)(-2.61%) 등도 약세를 보였다. 에코프로(086520)[086520]가 전장과 동일한 가격에 마감한 가운데 HPSP(403870)(1.33%), 이오테크닉스(039030)(7.92%) 등 반도체 종목과 에코프로비엠(247540)(0.24%), 엔켐(348370)(5.67%) 등은 올랐다.

이날 하루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의 거래대금은 각각 12조 3790억 원, 8조 2400억 원으로 집계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