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1분기 국내총생산(GDP)이 마이너스 성장으로 돌아섰지만 나스닥 종합지수를 제외한 뉴욕 증시는 상승했다. 이날 주요 경제 지표가 혼란스러운 모습을 보였지만 결국 관세 정책의 효과가 나타나기 전 이야기고, 미국 경제의 큰 흐름은 적어도 1분기까지 견조했다는 평가를 내리면서다.
30일(현지 시간) 뉴욕 증시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141.74포인트(+0.35%) 오른 4만669.36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은 8.23포인트(+0.15%) 상승한 5569.06에 장을 마감했다. 반면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14.98포인트(-0.09%) 떨어진 1만7446.34를 기록했다.
이날 장 초반 S&P500은 1% 이상 밀리기도 했다. 미 상무부가 발표한 1분기 미국의 국내총생산(GDP) 증감률(속보치)이 전분기 대비 연율 -0.3%로 집계됐다고 밝히면서다. 미국 경제가 분기 기준으로 역성장한 것은 지난 2022년 1분기(-1.0%) 이후 3년 만으로 지난해 4분기 성장률 2.4%에서 경제가 급격히 위축됐다.
무역 적자가 커진 것이 GDP 감소에 주요인이 됐다. 1분기 중 수출이 1.8% 증가한 반면 수입은 41.3%나 급증하면서 순수출이 줄었다. 특히 상품 수입이 50.9% 늘었다. 기업들이 관세 시행 전 재고 확보를 위해 수입을 크게 늘린 것이 성장률 하락의 주된 배경으로 작용했다.
시장은 이같은 수치에 미국 경제의 둔화 가능성을 우려했지만 이후 주요 지수는 회복세를 보이며 결국 다우존스와 S&P500은 상승마감했다. 투자자들이 시간이 흐를 수록 보고서 내부의 경제 체력을 재평가하면서다. 통상 GDP에서 미국 경제 수요의 기조적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월가에서는 전체 수치 가운데 △무역 △정부 지출 △재고 투자를 제외하고 기업과 개인 소비자들의 지출만을 별도로 살핀다. 미국 경제를 떠받치는 민간 수요를 보면 경제의 큰 흐름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1분기 이같은 민간 지출 혹은 ‘국내 민간구매자에 대한 최종 판매’는 연율 3.0% 증가해 지난해 4분기(2.9%) 보다 오히려 상승폭이 커졌다.
이는 미국 경제가 관세 정책의 여파를 제외하면 건강한 흐름을 보였다는 평가다. 다만 관세 정책 이후 경제의 불확실성이 여전하다. 르네상스 매크로 리서치의 닐 두타는 “이 모든 게 1분기에 일어난 일”이라며 “지금 불확실성은 성장의 적이며, 연준의 금리 인하에도 악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