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버스 노조가 7일 첫 차부터 준법투쟁(안전운행)을 재개한다고 6일 밝혔다. 서울시는 시민 불편 최소화를 위한 특별 교통대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노조는 사측과의 임금·단체협약 협상이 결렬되자 지난달 30일 하루 준법투쟁을 진행하고 연휴 기간에는 정상적으로 운행했다. 준법투쟁이란 승객이 교통카드를 찍고 자리에 앉아 안전이 확보된 걸 확인한 뒤 출발하거나 앞서가는 차를 추월하지 않는 방식으로 연착을 유도하는 방식이다.
시는 혼잡 완화와 대중교통 이용 불편 해소를 위해 지하철 출근 주요 혼잡시간을 오전 7~10시로 1시간 확대 운영한다. 이 시간대 1~8호선과 우이신설선 열차투입도 47회 늘리고, 의도적 지연 운행으로 버스 여러 대가 꼬리를 무는 ‘버스 열차’ 현상이 발생할 시 현장에서 즉시 조치할 방침이다. 시내버스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차량 흐름을 저해하는 행위에 대한 모니터링도 실시한다.
지난달 29일 협상 결렬 이후 노사 간 공식 교섭은 중단된 상태다. 연휴 기간 내부 논의가 이어졌지만 협상안이 진전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노조는 오는 8일 열리는 전국자동차노조 지역 대표자 회의에서 상급단체와 파업 시기와 방법 등 구체적 계획을 논의할 예정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