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순위채 조기상환 문제를 놓고 금융 감독 당국과 파열음을 냈던 롯데손해보험이 콜옵션 행사를 사실상 포기했다. 롯데손보 측은 하반기에 자본확충 방안을 마련해 조기상환을 추진한다는 입장이다.
12일 금융계에 따르면 롯데손보 측은 금융감독원에 조기상환 방침을 포기하고 구체적인 자본확충 방법을 마련해 제출하겠다는 의사를 전달했다.
롯데손보의 관계자는 “유상증자를 포함해 여러 방안을 놓고 고민 중이며 하반기에 자본확충을 해 조기상환을 마무리짓겠다는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금감원과 롯데손보는 900억 원 규모의 후순위채 콜옵션 행사를 두고 대립한 바 있다. 롯데손보 입장에서는 금감원이 조기상환을 막으면서 자본확충 이외에는 뾰족한 대안이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손보 측은 “후순위채 상환 관련 투자자 보호를 최우선 순위에 두고 중도상환을 검토했지만 금감원과 논의한 결과 중도상환 보류를 결정했다”며 “조속한 시일 내에 자본확충을 실행해 중도 상환 일정을 확정하겠다”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이에 대해 “롯데손보의 자구 노력을 기다리고 있다”며 “발행 요건만 충족된다면 금감원 입장에서 콜옵션 행사를 반대할 이유는 없다”고 강조했다.
다만 롯데손보의 대주주가 사모펀드 운용사(PE)인 JKL파트너스라는 점을 고려하면 자본확충이 순탄치 않을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금융계의 한 관계자는 “논리적 근거가 있다고 하더라도 금감원과 정면충돌해서는 문제가 해결될 수 없기에 부담스러웠을 수밖에 없었을 것”이라며 “PE의 특성상 유상 증자에 나서는 것이 쉽지는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