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 대선을 앞두고 중도층 표심 확보가 시급한 국민의힘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거취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당 차원의 출당·제명 조치는 강성 지지층의 반발을 살 수 있고 그대로 두자니 ‘범보수 빅텐트’에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당내에서는 윤 전 대통령의 자진 탈당에 기대를 거는 분위기다.
14일 정치권에 따르면 윤 전 대통령의 당적 문제를 놓고 국민의힘 내부 의견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김문수 후보와 당내 주류인 친윤(친윤석열)계에서는 본인 의사에 반하는 ‘강제 출당’만은 피해야 한다는 인식이 강하다. 윤 전 대통령의 강성 지지층이 적지 않은 상황에서 일방적 결별은 되레 내부 분열을 초래할 수 있다는 판단이다. 이날 경남 사천을 찾은 김 후보는 윤 전 대통령 탈당에 대해 “윤 전 대통령이 잘 판단할 것”이라며 “판단을 존중하는 것이 옳다”고 말을 아꼈다. 윤상현 의원은 “윤 전 대통령 탈당 요구는 자중지란을 부추기는 처사”라고 비판했다.
반면 당내 탄핵 찬성파는 윤 전 대통령과의 관계 정리를 연일 압박하고 있다. 상임공동선대위원장을 맡은 안철수 의원은 김 후보를 향해 “윤 전 대통령의 실정 및 계엄과의 결별이 선거 승리를 위한 필수 조건”이라며 결단을 촉구했다. 범보수의 빅텐트를 위해서라도 파면당한 전임 대통령과의 절연이 시급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당장 단일화 대상인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는 연대의 전제 조건으로 ‘윤석열 출당’을 내걸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윤 전 대통령이 당의 부담을 덜고자 스스로 당적을 정리하는 방안도 거론된다. 대통령실 사정에 정통한 서정욱 변호사는 “조만간 윤 전 대통령이 희생적으로 선제 탈당할 가능성이 있다”며 “그럼 대선판이 휘청거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도부의 고심도 깊어지고 있다.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지명자는 이날 라디오 인터뷰에서 윤 전 대통령과의 결별 가능성에 대해 “대부분 사람들이 만족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도록 여러 가지를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지명자는 비대위원장에 공식 취임하는 15일 윤 전 대통령의 거취를 포함한 당 개혁 방안을 내놓을 예정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