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춘 500대 기업들조차도 북한 정보기술(IT) 노동자들의 위장 취업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13일 미국 인터넷 매체 악시오스는 사이버 정보 플랫폼 스트라이더 테크놀로지스를 인용해 이 같이 보도했다. 스트라이더는 포춘 10대 기업 중 8곳과 협업하는 사이버 정보 플랫폼이다.
스트라이더는 보고서를 통해 북한의 IT 인력 운영과 관련이 있는 중국 기업 35곳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35개 기업들은 모두 미국의 제재 대상인 ‘랴오닝 중국 무역’과 연관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미국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은 지난 1월 북한 IT 노동자를 위한 노트북 등 장비를 북한 인민무력성 53부에 공급한 랴오닝 중국 무역을 제재 명단에 올렸다고 밝힌 바 있다.
스트라이더는 특히 섬유·전자제품 도소매 업체로 등록한 '단둥 더윈 무역', 화장품·의류 도매업체 '광저우 아이이시 무역', 광물·건축자재 도매업체로 등록된 '융핑 줘런 광업' 등 3개 업체가 랴오닝 중국 무역을 통한 북한의 자금 조달을 도울 수 있다고 지목했다.
이러한 중국 유령회사에 소속된 북한 IT 노동자들은 미국 기업에 위장 취업한 뒤 높은 수준의 급여를 받는다. 이 자금은 모두 북한 미사일 프로그램 자금 조달에 활용된다. 악시오스는 거의 모든 포천 500대 기업이 이 같은 문제로 골머리를 앓아 왔다고 지적했다. 다만 이러한 수법이 점차 알려지면서 “북한이 최근에는 대상 기업의 정보 수집, 특히 지식재산권이나 기타 기업 비밀을 수집하는 쪽으로 초점을 바꾸고 있다”는 것이 그레그 레베스크 스트라이더 최고경영자(CEO)의 설명이다. 레베스크 CEO는 “북한 IT 위장취업의 규모와 범위가 당초 예상보다 훨씬 크다”고도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