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이 대선을 앞두고 이합집산 양상을 보이고 있다. 총선·대선 때마다 정치방침을 두고 겪었던 내홍이 더 두드러진 양상이다.
15일 노동계에 따르면 민주노총은 이날 서울 중구 민주노총 사무실에서 중앙집행위원회를 열고 더불어민주당과 정책 협약 추진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민주당에 대선 핵심요구안만 전달한다.
대선을 앞두고 민주노총이 민주당과 정책 협약을 추진할 것이란 예상을 하기 어려웠다. 민주노총은 정치적 목소리를 내면서도 민주당 등 거대 양당과 거리를 둬왔기 때문이다. 민주노총과 민주당의 정책협약은 2021년 19대 총선이 처음이다. 이후 총선과 대선에서 둘의 정책협약은 없었다. 대선만 놓고보면 한 차례도 정책 협약이 이뤄지지 않았다.
민주노총은 진보당, 민주노동당(옛 진보당) 등 진보 정당과 더 가까웠다. 하지만 정치방침을 정할 때마다 내부 의견이 하나로 모이지 않고 터져나왔다. 민주노총이 22대 총선에서 정치방침을 정하지 못한 배경이다.
하지만 올해는 양상이 예년과 달랐다. 윤석열 정부를 출범 직후부터 비판해왔던 민주노총과 민주당은 12·3 계엄 사태 이후 대통령 탄핵을 촉구한다는 하나의 목표로 가까워졌다. 올 2월에는 이 대표가 민주노총을 찾아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을 만났다.
결과적으로 민주노총과 민주당의 ‘연대’는 기존 진보당과 연대와 충돌한 양상이다. 민주노총 사무총장은 9일 민주노총에 사임 의사를 전했다. 7일 대선 정책 협약을 맺은 진보당의 김재현 후보가 이재명 민주당 후보를 지지하면서 사퇴한 게 방아쇠가 됐다. 사무총장의 갑작스러운 사임은 ‘진보당 대표가 대선을 포기한 상황에서 민주노총이 민주당과 정책협력을 추진하는 게 맞느냐’는 반대 의사 표명인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노총에서 무산된 민주당과 정책협약은 산하 노조에서 독자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이날 건설기업노조는 민주당과 정책협약을 맺고 이 후보를 지지하기로 했다. 화물연대본부도 16일 민주당과 정책협약식을 연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